![]() |
이렇게 좋은 계절이지만 63년 전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희생한 4.19혁명이 있었다.
4.19혁명은 1960년 4월19일 학생과 시민이 중심 세력이 돼 일으킨 반독재 민주주의 운동이었다.
이승만 정권은 1948년부터 1960년까지 발췌개헌, 사사오입 개헌 등 불법적인 개헌을 통해 12년간 장기 집권했다.
그러다 1960년 3월15일 제4대 정·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가 실시됐는데 투표함 바꿔치기, 득표수 조작 등의 3.15 부정선거로 마산에서 시민들과 학생들이 부정선거를 규탄하는 격렬한 시위를 벌였고, 당국은 총격과 폭력으로 강제 진압에 나섰고 그 결과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그러던 중 4월11일 마산시위(3월15일)에서 실종됐던 고등학생 김주열 군이 눈에 최루탄이 박힌 참혹한 시체로 발견됐고, 그 결과 분노한 전국의 시민과 학생들이 4월19일 총궐기해 '이승만 하야와 독재정권 타도'를 외쳤고 결국 이승만은 대통령직에서 하야했다.
4.19혁명은 국가의 주권은 국민에 있다는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를 상징하는 역사적 사건으로 한국의 역사에서 일반 대중이 봉기해 정권을 쓰러뜨린 최초의 사건이다.
현재의 자유롭고 정의로운 대한민국은 이처럼 수많은 시민과 학생들의 희생이 바탕이 됐기에 가능한 것이다.
올해 4월19일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을 기억하며 감사하는 하루가 되기를 바란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