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 “헌법 부정한다고 생각 안 해…오히려 논의의 시작”
이에 대해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은 26일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임 전 실장은 이날 CBS 라디오에 나와 "통일에 대한 지향은 헌법정신에 남기고 미래세대에 넘겨주자는 것이 (헌법을)전면적으로 부정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임 전 실장은 "민주당내에서 활발한 토론이 일어나면 좋겠다"며 "한반도 상황을 걱정하고 평화 정착을 고민하는 사람은 적어도 제 고민의 요지에는 동의하리라고 본다"고 밝혔다.
그는 '민주당이 두 국가론에 선 긋는 모습이 서운한가'라는 사회자의 질문에 "아니다"라며 "일부는 오해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고, 오히려 논의의 시작이라고 본다"고 답했다.
임 전 실장은 헌법 개정 문제에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라는 영토 조항을 없애는 게 좋겠다는 분들도 계시고 상징적으로 유지하자는 분들도 계셔서 저는 지우든지 개정하자는 쪽인데, 학자들이 논의해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앞서 이재명 대표는 전날 부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임 전 실장 발언이 평화통일을 추구하도록 한 대한민국 헌법에 위배되는 측면이 있지 않으냐’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해식 당 대표 비서실장은 최고위원회의 뒤 기자들에게 “임 전 실장 페이스북 메시지는 당 입장과 다르다”며 “헌법 정신에 위배되며 당 강령과도 맞지 않는 주장이고, 평화통일을 추진하고자 하는 그동안의 정치적 합의와도 배치되는 것이어서 당론과는 다르다는 지적이 나왔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앞서 김민석 수석최고위원이 “김대중 전 대통령이라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동조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두 국가론을 비판한 발언도 회의에서 언급했다고 한다.
당 핵심 관계자는 “이 대표가 임 전 실장 발언이 마치 민주당 당론이거나 중요한 다수 의견인 것처럼 알려지는 것은 곤란하다고 말했다”며 “이 대표는 보수 정부, 진보 정부 할 것 없이 북한과 관련해 그동안 축적해 온 통일 관련 노력의 흐름을 존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친명(친이재명)계 최대 조직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 주최 토론회에서도 두 국가론에 대한 성토가 나왔다.
일부 토론자는 임 전 실장을 비롯한 ‘586세력’이 주도한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이 실패했다는 진단을 내놨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토론회에서 “임 전 실장의 주장은 좋게 말하면 이상적이지만, 나쁘게 말하면 개념 없는 소리”라며 “논리적이지 못한 정치적 발언에 왜 호들갑을 떨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김진향 한반도평화경제회의 상임의장은 “도발적으로 말하면 문재인 전 대통령도 무지했고, 임 전 실장도 무지했다. 이런 무지가 평화의 실패를 만들었다”고 했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윤용조 혁신회의 집행위원장은 “임 전 실장의 글은 ‘나르시시즘적 평화 타령’이다. 자기만족적으로 평화를 외치기만 하면 평화가 올 것으로 보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앞서 임 전 실장은 지난 19일 9·19 공동선언 6주년 기념식에서 “두 개의 국가를 수용하자”고 주장했다.
이를 두고 윤석열 대통령은 24일 국무회의에서 “북한이 핵 공격도 불사하겠다며 ‘적대적 두 국가론’을 주장하는 상황에서 ‘평화적 두 국가론’이 과연 가능하기나 한 얘기인가”라고 정면으로 비판했다.
이에 임 전 실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윤 대통령이야말로 지금 정확하게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론’에 동조하고 있는 것”이라며 “평화적인 두 국가 상태로 하루빨리 평화를 정착시키고 자유롭게 왕래하며 협력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반박 글을 올렸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