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4.10 총선 참패 이후 혼란에 빠진 국민의힘이 비대위원장 선임을 통한 당 수습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지만 '두달짜리 권한없는 관리형'이라는 한계 때문에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는 5월3일 새 원내대표 선출에 앞서 비대위원장 지명 작업을 마무리하려던 윤 권한대행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28일 “내일(29일) 국회에서 윤재옥 원내대표 겸 당 대표 권한대행이 당선자 총회를 열고 비대위원장 인선 관련 상황을 공유할 예정이지만 아직 아무것도 진전된 것이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현재 당내 중진급 당선인들은 조경태ㆍ주호영(6선), 권성동ㆍ권영세ㆍ김기현ㆍ윤상현ㆍ 나경원ㆍ조배숙(5선) 의원 등을 비롯해 4선까지 포함하면 19명에 이른다.
하지만 그동안 윤 권한대행이 접촉한 당내 중진들은 죄다 비대위원장직을 고사했고 낙선한 중진도 해당 제안을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동일 지역구인 부산 사하을에서 6선을 달성한 조경태 의원이 지난 25일 비대위원장직을 맡겠다는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혔지만 윤 원내대표는 "제안한 바는 없다"고 일축했다.
이번 비대위원장 인선에 대부분의 중진들이 무관심한 이유에 대해 7월 말 8월 초 쯤 예정된 전대 준비가 임무의 전부라 할 정도로 권한이 제한돼 있고 임기도 두달 정도에 불과한 한계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또한 현재 '당원투표 100%'인 당 대표 경선 규정을 둘러싼 논란도 중진들의 비대위원장 수락을 어렵게 하고 있다는 관측이다.
친윤계와 비윤계, 수도권과 비수도권 그룹이 전대 룰 변경 여부와 관련해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어 관리형이라는 한계를 가진 비대위원장으로선 당내 이견을 조율해내야 하는 부담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만약 윤 권한대행이 차기 원내대표 경선 전까지 비대위원장 인선을 마무리 짓지 못할 경우엔 새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겸직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앞서 지난 11일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이 총선 참패 책임을 지고 물러나면서 국민의힘은 오는 6~7월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준비하는 목적의 임시 비대위를 꾸리기로 결정했다. 윤 원내대표는 임기는 오는 5월29일까지다.
한편 박정훈 서울 송파갑 당선인이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의 전대 출마 가능성을 언급해 이목을 모았다.
박 당선인은 전날 오후 CBS 라디오에서 '한 전 위원장이 당 대표에 나올 것으로 보느냐'는 진행자 질문에 "본인은 원하지 않을 것 같다"면서도 "정치부 오랜 기자의 경험으로 생각하는 건데, 그럴 가능성이 있다. 주변에서 끄집어내려고 할 거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