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김건희 여사 문제 직접 나서라

고하승 / gohs@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10-23 13:38:0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주필 고하승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면담에서 김건희 여사에 문제에 대한 확실한 해법이 제시되지 않았다. ‘빈손 회담’, ‘맹탕 회담’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로 한동훈 대표가 윤 대통령에게 김 여사 대외활동 중단, 대통령실 인적 쇄신, 김 여사 관련 의혹 규명을 위한 절차 협조 등 3가지 요구사항을 전달했으나 확실한 답변을 들은 건 아무것도 없다.


그러면 김 여사 문제는 그대로 덮어지는 것인가.


아니다. 차기 대권을 노리는 한 대표는 ‘국민 눈높이’라는 명분으로 이 문제를 계속해서 거론할 것이고, 민주당 등 야당은 그를 부추기며 반사이익을 얻는 이간계를 쓸 것이 분명하다.


이런 상황에서도 윤 대통령이 계속해서 김 여사 문제를 뭉개고 넘어갈 수는 없다.


어떤 방법이든 분명한 해법을 제시해야만 한다.


이미 국민은 김 여사의 오지랖에 짜증이 난 상태다. 그냥 ‘김건희’라는 이름만 들어도 짜증 날 정도다.


이건 법적인 문제가 아니라 국민감정의 문제다. 김 여사는 윤 대통령 국정 지지율을 바닥내는 요인이기도 하다.


사실 윤 대통령은 국정 운영에 많은 성과를 냈다.


체코 방문(9월 19~22일)으로 원전 세일즈 외교가 9부 능선을 넘어섰다.


한국이 네 번째 도전 끝에 세계 3대 채권지수인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에 성공해 채권 선진국 클럽에 가입하게 됐다. WGBI에 들어가게 되면서 내년부터 약 80조 원 규모의 해외 투자 자금이 국내에 유입돼 정부 재정 운용과 외환시장, 금리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차지하는 한국의 위상도 한층 높아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윤석열 정부의 쾌거다.


지난해 4월 워싱턴 선언으로 한미동맹을 핵 기반의 안보동맹으로 강화하고 한미 글로벌 포괄 전략동맹을 가동한 것도 중요한 성과 가운데 하나다.


그런데도 윤 대통령 지지율이 바닥을 기는 건 김 여사 리스크 탓이다.


사법리스크로 언제 정치생명이 끊어질지 모를 사람을 당 대표로 내세운 더불어민주당보다도 국민의힘 지지율이 더 낮은 것 역시 김 여사 때문이다.


이런 상태가 계속 이어지면 보수 정당의 재집권은 꿈도 꿀 수 없다.


따라서 윤 대통령이 주도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야만 한다.


한동훈 대표의 요구를 무조건 수용하라는 말은 아니다. 그의 요구를 전폭적으로 수용할 수도 있고, 그의 요구 가운데 필요한 것만 골라 받아들일 수도 있고, 아니면 모든 요구를 일축하고 새로운 방안을 윤 대통령이 추진할 수도 있다.


어떤 방법이든 김건희 여사 문제를 반드시 풀고 넘어가야만 한다.


이재명 방탄에 혈안이 된 더불어민주당에 끌려가는 형식이나, 한동훈 대표의 요구에 끌려가는 형식이 아니라 대통령이 직접 주도적으로 끌고 가는 방식으로 해법을 제시하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


사실 김건희 여사 리스크만 아니라면 윤 대통령 지지율이 이렇게 낮을 이유가 없다. 국민의힘 지지율 역시 마찬가지다.


이제야 뒤늦게 김 여사가 대국민 사과를 하면서 공개적인 대외활동을 자제하겠다고 선언하는 건 아무 의미가 없다. 이미 그런 선언은 과거에도 있었지만 지켜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것보다는 강도가 훨씬 더 높아야 한다.


이를테면 대통령 임기를 마칠 때까지 사저로 돌아가 용산을 찾지 않겠다는 선언 정도는 나와주어야 한다. 물론 대통령 해외 순방 때에는 국제관례가 있어서 공식적으로 부부동반을 해야 하겠지만,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굳이 두 분이 임기 중에 만나야 할 공적 이유는 없다.


윤석열 대통령은 한 사람의 남편이기도 하지만, 대한민국 최고 정치 지도자라는 사실을 간과해선 안 된다. 대통령이라면 마땅히 부부가 잠시 떨어져 사는 무게를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거듭 말하지만, 이제는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이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할 때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