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채널A 라디오에 출연한 김 최고위원은 “(정책위의장처럼)당헌 당규에 당직자 임기 규정을 두는 경우가 드물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당헌의 해석 문제니까 우리 당헌상으로 최종 해석권자인 상임전국위원회를 통해 정치적으로 해결하라는 것”이라고 기존의 주장을 되풀이하면서 “과거에도 그런 사례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당 대표의 권한이 너무 강해서 원내대표에게 국회 운영의 전권을 부여하고 정책위의장까지 관할하게 만든 것”이라며 “(다만)원내대표가 정책위의장을 지명하는 게 아니고 당 대표와 협의해서 함께 지명하고 의원총회에서 추인을 받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이 정도면 당 대표께서 리더십을 발휘하면 될 일이었는데 4:5니 5:4니 최고위에서 표결하는, 이런 논리로 가다 보니까 문제가 커진 것”이라며 “대표께서 정치적으로 푸는 게 맞다고 본다”고 말했다.
특히 “저는 (정책위의장 거취 문제가)자꾸 논란이 되니 유권 해석을 받아라. 그렇게 이야기한 것 뿐”이라며 “거기까지 가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한동훈 대표께서 계시는 동안에 단언컨대 (최고위)표결에서 한 사람 때문에 부결된다든가 가결된다든가 이런 순간은 오지 않을 것”이라며 “정당은 그렇게 운영되지 않는다. 경험있는 의원들이 정책위의장을 가지고 왜 이러는지 모르겠다고 하는 이유가 그것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