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총리 후보 그림?” “대권, 재도전할 수도” “李와 서로 이용”
특히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적극적으로 홍 전 시장 구애에 나선 가운데 최근 홍 지지자 일부가 이 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한 데 대해서도 여러 해석이 따르는 모양새다.
홍 전 시장은 15일에도 국민의힘을 ’비열한 집단‘, '도저히 고쳐쓸 수 없는 집단’이라고 혹평하면서 “그 당(국민의힘)이 내게 베풀어 준 건 없다. 박근혜 탄핵 이후 궤멸한 당을 내가 되살렸을 뿐”이라고 친정 비판에 시동을 걸었다.
그는 이날 개인 플랫홈 '청년의꿈'을 통해 “30년 전, 노무현 전 대통령을 따라갔다면 이런 의리, 도리, 상식이 전혀 통하지 않는 당에서 오랫동안 가슴앓이는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정치입문 당시 YS 대통령을 선택한 데 대해 아쉬움을 드러내면서 이같이 말했다.
특히 “다섯 번의 국회의원은 당의 도움이 아닌 내 힘으로 당선됐다”며 “두 번의 경남지사는 친박들의 집요한 견제와 음해 속에 경선에서 이겼고 한 번의 대구시장도 당의 집요한 방해 속에 터무니없는 15% 페널티를 받고 경선에서 이겼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3년 전 윤석열에게 민심에서 압승하고 당심에서 참패했을 때 탈당하려고 했으나 마지막 도전을 위해 보류했다”며 “이번 경선에서도 사기 경선을 하는 것을 보고 내 청춘을 묻은 그 당을 떠났다. ‘국민의짐’에서 은퇴한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만 “하와이는 대선을 피해 잠시 망명 온 것”이라며 “대선이 끝나면 돌아가겠다”고 정계 복귀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홍 전 시장은 전날에도 “다급해지니 비열한 집단에서 다시 오라고 하지만, 정나미 떨어져 근처에도 가기 싫다”며 국민의힘을 “도저히 고쳐 쓸 수 없는 집단”이라고 맹비난했다.
김문수 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 간 ‘단일화 내홍’ 상황을 두고도 “한밤중 후보 약탈교체로 파이널 자폭한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앞서 홍 전 시장은 당 대선 경선에서 탈락하자 12.3 비상계엄 선포 이후에도 윤석열 당시 대통령 탄핵을 반대하며 국민의힘 최전방에 서 있던 입장을 바꿔 “당에서 내 역할이 없다”며 탈당하고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특히 당 대선 후보로 확정된 김문수 후보가 상임선대위원장직 제안을 거절하고 미국행에 올랐다.
이에 대해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홍준표 전 시장이)대선 기간 중 움직일 것 같지는 않다”면서 “측근들이 먼저 이재명 대선 캠프에 합류하고 선거 직후 총리 후보로 귀국하는 그림을 생각하고 있지 않나 싶다”고 예상했다.
이어 “처음에는 대선 이후 보수 재편이 이뤄지는 시점에 다시 등판해 그 과정을 주도하려 했던 것 같은데, 이재명 후보 쪽과 접촉하면서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의 JP가 새 모델로 떠오른 듯하다”면서 “(홍 전 시장이)다시 대권에 도전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홍 전 시장과 이재명 후보의 최근 관계가 ‘이이제이’에 불과할 것이란 시각도 적지 않다. 향후 보수 재편 과정에서 정치적 운신의 폭을 넓히려는 홍 전 시장과 중도보수 확장성이 떨어지는 약점을 보완하려는 이재명 후보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 서로를 이용할 뿐 연대가 성사될 가능성은 없다는 것이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연정은 집권이 아슬아슬할 때 하는 것”이라면서 “이재명 후보와 홍준표 전 시장이 실제 연립정부를 세울 일은 거의 없다고 본다”고 일축했다.
특히 “(이 후보의)러브콜이 보수표 확보를 위한 전략에 불과하다는 걸 홍 전 시장이 모를 리 없다”면서 “홍 전 시장 또한 이 후보를 통해 국민의힘 경선 과정에서 쌓인 당에 대한 불만을 드러내는 것일 뿐”이라고 평가 절하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