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10.16 재ㆍ보궐선거를 '정권 심판'으로 규정한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의 신경전이 연일 거세지더니 급기야 상호 네거티브 공방이 '고발' 조치로 이어졌다.
3일 정치권에선 '텃밭 사수ㆍ대중정당 확장'이라는 양당의 목표 충돌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혁신당은 전날 민주당 주철현 최고위원을 허위사실 공표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주 최고위원은 지난 9월3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혁신당 후보는 서울 강남 아파트를 포함 전국 각지에 임야와 대지를 보유했으나 정작 '영광'에는 단칸방 하나 보유하지 않았다"고 한 데 대해 법적인 책임을 묻고 나선 것이다.
앞서 민주당도 지난 9월27일 장현 혁신당 영광군수 후보를 경찰에 고발했다.
장 후보가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민주당 경선이 불공정했다"고 발언한 게 당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것이다.
이 같은 양당의 갈등은 민주당의 '호남 텃밭 사수'와 혁신당의 '대중 정당 교두보 확보'라는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데서 비롯됐다.
호남지역은 전통적으로 민주당 텃밭이지만 혁신당의 도전으로 안심할 수 없는 지역이란 게 이미 증명된 상황이다.
실제로 지난 4.10총선 당시 민주당의 위성정당이었던 더불어민주연합은 전남지역 비례대표 투표에서 39.38%의 지지를 얻으면서 43.97%를 차지한 조국혁신당에 1위 자리를 내줬다.
더욱이 최근 여러 여론조사에서 장현 영광군수 후보가 민주당 후보와 엎치락뒤치락하는 결과가 나오면서 '위기론'이 뒷받침됐다.
이후 민주당은 혁신당을 향해 '이삭줍기ㆍ집안싸움ㆍ상한물' 등을 언급하며 견제하기 시작했고, 전남에 지역구를 둔 의원 10명 전원이 참여하는 매머드급 캠프를 구성했다.
또 지도부 차원의 총괄지원단을 출범시키면서 텃밭 사수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재명 대표도 지난 1일 페이스북에 "(재보선)지역 연고자를 모조리 찾아달라"는 호소의 글을 올렸다.
이에 맞서 22대 국회 12석을 확보하면서 원내 제3정당 자리를 꿰찬 혁신당은 비례정당이라는 '꼬리표'를 떼어내기 위해 이번 선거에 사활을 걸고 있다.
혁신당 서왕진 의원은 전날 "오늘로 7개월째 되는 신생정당인데, 경쟁력을 갖춘 대중 정당으로 자기 발전해야 될 목표가 상당히 중요하다"고 밝혔다.
앞서 양당이 이번 선거에서 '부산 금정구청장'이 갖는 의미를 '정권 심판'으로 규정하며 원칙적 단일화에 합의했으나 지지부진한 이유도 양당의 이런 갈등이 주요 원인이다.
단일화에 성공한다면 여당 텃밭인 부산에서도 승기를 잡을 수 있다는 관측이지만 공식선거운동 시작을 앞두고 있으나 협상테이블에 앉지도 못했다. 양당이 단일화 방식과 시기를 두고 샅바싸움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실무협상에서는 '소통'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단일화 1차 시한으로 꼽히는 투표용지 인쇄일인 오는 7일까지 일주일도 채 남지 않았다는 것이다. 정치권에서는 불필요한 신경전을 이어가면 양당 모두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