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여사 특검법의 2ㆍ3차 재표결까지 염두에 둔 전략으로 풀이된다. 재통과 요건을 넘기지 못하더라도 대대적인 여론전으로 향후 여권 이탈표를 끌어낼 수 있다는 계산이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건희 특검법은 지난 19일 국회 본회의에서 야당 주도로 통과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특검법에 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크고 그러면 국회 본회의에서 재표결 절차를 거치게 된다.
민주당도 당장 재표결 통과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는 상황이다. 300명의 국회의원이 모두 출석한다고 가정하면 3분의2인 200명의 동의를 얻어야 다시 통과될 수 있는 탓이다. 야권이 공조해도 국민의힘의 이탈표가 필수적이지만 이탈 가능성은 희박하다.
민주당은 재표결에 실패하더라도 김건희 특검법을 재추진할 방침이다.
오는 10월 국정감사에서 김 여사를 향한 공격이 활발하게 이뤄질 경우 추후 국민의힘에서 이탈표가 나올 수 있다고 예측하기 때문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만일 국정감사에서 김 여사의 육성이 담긴 공천개입 의혹 관련 직접 녹취록이 공개된다면 국민적 파장이 커질 전망”며 “아직은 간접 녹취록만 공개됐지만 최초 보도한 매체는 후속 보도를 예고하고 있어 가능성이 없지 않다”고 했다.
그는 “김 여사에게 명품백을 건넨 혐의를 받는 최재영 목사에 대한 검찰 수사심의위원회 결과도 변수”라며 “10월 국감은 야당에 꽃놀이패”라고 덧붙였다.
검찰 수심위는 이날 오후부터 최 목사의 청탁금지법 위반 등 4개 혐의를 심의한다.
최 목사에 대해 수심위가 기소를 권고할 경우 김건희 특검법에 더 힘이 실리게 된다. 앞서 이원석 전 검찰총장이 직권으로 소집한 수심위는 김 여사의 청탁금지법 위반 등 6개 혐의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권고했다.
새로운 김건희 특검법엔 4.10 총선 개입 의혹 뿐만 아니라 2022년 재ㆍ보궐 선거 개입 의혹까지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 수사 범위가 확대될수록 압박은 커질 수밖에 없다.
민주당 노종면 원내대변인은 이날 "지금 당장 이탈표가 8표 이상 나올 거라고 기대하지는 않는다"며 "다만 7월25일 해병대원 특검법을 재의결할 때 (국민의힘에서)3~4명의 이탈표가 나온 거처럼 균열은 생기고 있고, 균열은 국민 여론이 키우는 방향으로 가지 않을까"라고 기대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