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친명-친문 갈등 심화...하위 20% 통보 후 폭발 가능성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02-07 14:00:1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박용진 "공천과정에서 대선패배 책임 묻는다면 논란 우려돼'
임종석 “尹 정권 탄생 책임 文 정부에 있다는 데 동의 않는다”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문재인 전 대통령이 각자의 이름을 딴 ‘명문정당’을 언급하며 단합을 강조했지만 친명계와 친문계 간 갈등의 골이 갈수록 깊어지는 모양새다. 특히 당 선출직공직자 평가위원회가 하위 20%에 해당되는 현역의원 평가결과가 당사자에 통보되는 설 연휴 이후부터 양측의 갈등이 폭발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비명계로 지목된 박용진 의원은 7일 “저희가 (지난 대선 패배 관련) 백서 작업을 안 했는데 이번 공천 과정에서 대선 패배 책임을 묻는 일이 벌어진다면 또 다른 논란이 우려된다'며 전날 “윤석열 검찰정권 탄생을 제공한 분들은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주길 바란다”고 밝혀 논란을 초래했던 임혁백 공관위원장을 겨냥했다.


실제경선 지역 1차 발표 자리에서 공개적으로 언급했던 임 위원장 발언은 즉각 당내 파장을 불러왔다.


지난달 21일 기자간담회 이후 2주 만에 또 다시 같은 취지로 문재인 정부 고위직 출신 인사들의 불출마 내지 험지 출마를 요구했다는 측면으로 해석되면서다.


이에 따라 이 대표의 문 전 대통령 예방 이후 잠잠해진 듯 보였던 친명-친문 갈등도 다시 수면 위로 올라왔다.


당장 4·10 총선 예비후보 가운데 문재인 정부 출신 대표 주자로 거론되는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대선 패배와 윤석열 정권 탄생의 책임이 문재인 정부에 있다는 인식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반발했다.


특히 후보 공천에서 '컷오프' 수준의 치명타가 될 ‘하위 평가 20%’ 평가 결과도 뜨거운 감자다.


지난해 12월 개정된 민주당 당헌의 ‘감산기준’ 규정에 따르면 전체를 기준으로 하위 10%에 해당하는 현역 의원들은 지역구 후보 경선에서 본인이 얻은 득표의 30%를 감산하고, ‘하위 20%’ 안에서 상위 절반에 해당하는 의원들은 경선 득표수의 20%가 깎인다.


무엇보다 해당 명단에 친문 인사들이 다수 포진될 경우, 갈등은 악화 일로로 치달을 수밖에 없다.


당의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 평가에서 하위 20%를 기록한 현역 의원들에 대해 공관위는 설 연휴 이후 개별 통보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