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총선을 앞두고 제3지대 ‘빅텐트’ 구성이 이뤄진 것과 관련해 개혁신당 이준석 공동대표가 13일 “통합 시너지를 위해 타협을 통해 처리하는 게 맞겠다는 협상단의 의견 일치가 있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 공동대표는 이날 오전 C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개혁신당내에서 회의할 때는 최종 협상안으로 저희가 당명과 지도체제를 여론조사 선출 방식을 제안한 상태였는데 그 상황에서 저희가 다소 여론조사에 우위가 있다는 판단들을 한 것 같았고 그걸 받아들이기 어려운 상황이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그것을 밀어붙이기보다는 결국 타협을 통해 처리하는 게 맞겠다는 협상단의 의견 일치가 있어서 결국 당명은 개혁신당을 유지하고 흡수합당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거기에 더해 지도체제 같은 경우 이낙연 총리는 충분히 저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부분이 많은 상황이기 때문에 공동대표로 모시고 예우하는 방향으로 협의에 따라 처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합당이라는 것에 있어서 다른 당들을 존중하는 모습은 당연히 보여야 하는 것이 맞지만 절차상으로 선관위에 처리할 때 협상 절차를 통해 하는 게 당면한 선거를 위해서는 좋다는 판단을 해서 그렇게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낙연 공동대표의 지역구 출마 여부에 대해서는 “협상단내 일부 논의나 공감대는 있었지만 협상의 조건이라든지 그것이 강제되는 상황을 얘기한 건 아니다”라며 “그것이야말로 이낙연 대표께서 당을 위해, 어느 정도는 전격적인 판단으로 할 수 있는 부분이지, 누군가 강제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저도 제가 제 지역구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당의 전략적인 판단을 봐야 하기 때문에 선언을 못하고 있는 것처럼 이낙연 총리께서도 제3지대의 성공을 위해 무엇이든 할 자세가 돼 있다는 것”이라며 “만약 이낙연 대표께서 광주가 아니라 다른 곳에도 전략 배치가 가능하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이낙연 대표의 지역구 출마는)많은 분들이 그렇게 해야 한다는 얘기를 하고 있고 실제로 개혁신당의 주요 구성원들은 무엇이든 신당의 성공을 위해 하겠다는 자세를 서로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개혁신당 합당 과정에서 일부 당원들의 이탈 현상에 대해서는 “합당의 성과라고 하는 것은 저희가 실제 달성하고자 하는 정치적 목표를 위해 옳은 선택이었는지 틀린 선택이었는지 이런 것들이 드러나는 시점부터 구체화될 것”이라며 “당원들에게 설명과 더불어 그간의 소통이 부족했던 부분이 있다면 당연히 사과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그는 “당직자들의 경우에도 일부 오해가 있는 경우가 있었는데 그 오해라는 게 다 해소된 상황”이라며 “4명의 협상대표단, 그리고 배석한 사람들 이외에는 협상 조건에 대해 외부 공개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각 당에서 어느 정도의 반발이 있는 상황이고, 대표단에 대한 신뢰는 원래 보여줬었던 것이기 때문에 내용을 나중에 설명하는 과정에서 다 오해가 풀린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