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북한의 대통령실 행정관 이메일 해킹 논란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힘 태영호 의원이 15일 “날로 진화하는 북한의 사이버해킹에 우리가 어떤 대응을 해야 할 지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태 의원은 이날 오전 C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은 대단히 거대한 해커 부대라는 걸 가지고 있는데 제가 있을 때는 3000명 정도였지만 지금은 더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선 국가적인 투자를 늘려서 북한의 사이버 해킹을 막기 위해 전담 인력도 늘려야 한다. 국회 같은 경우 국회의원실을 모두 다 들여다보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저희 의원실 같은 경우 국회 사이버팀에서 상시적으로 들여다보다가 해킹 시도가 있다 하면 즉시 전화가 온다”며 “가장 중요한 건 이런 국가적 투자를 늘려야 하고 개개인이 특히 중요한 업무를 하시는 분들은 자기가 상시적인 해킹 대상이라는 의식을 항상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행정관 이메일 해킹 논란과 관련해서는 “개인의 보안 의식이나 보안 교육과 관련된 문제”라며 “보안 교육을 다시 강화하고 상당히 많은 점을 시정 조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해당 행정관이 민간 이메일을 이용하다가 해킹을 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대통령실의 해명을 보면 급하게 업무를 해야 할 때 주무부처의 해당 담당자와 급하게 업무를 해야 하는데 대통령실의 보안 시스템은 너무 까다로워서 그걸 거치면서 하자면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쉽게 하려고 네이버 이메일 같은 걸 사용했다고 했는데 문제는 이 네이버 메일이나 G메일 등을 사용하는 게 수천만명인데 어떻게 북한이 그 중 대통령실 행정관을 타킷팅해서 결국 그 사람이라는 걸 알았을까 하는 내용에 대단히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건 북한에서 그리 힘든 일도 아니다. 북한이 우리의 외교부를 항시적으로 들여다보고 있으면 외교부내 직원이 많은데 그중에서도 대통령실과 계속 교신하고 있는 사람들이 딱 나타나게 돼 있다”라며 “이 사람과 주고받고 있는 특정 직원이 누구냐 하고 보면 대통령이 외국 순방 때는 누가 어떤 업무를 주고받고 있는지(보이기 때문에) 대통령실에 있는 보안시스템이 다 돼 있는 그 수단과 메일을 이용해 업무를 주고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야당이 국회 차원의 조사를 요구하는 것에 대해서는 “대통령실이 뚫렸다면 이건 당연히 국회 차원의 조사도 이뤄지고 국가적으로 신중한 문제인데 일단 우리 시스템이 이번에는 잘 동작해서 사전에 미리 걸려냈고 개인의 이탈이기 때문에 국회 차원의 조사까지는 가야 할 필요가 없지 않겠는가”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