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한동훈(친한)계 국민의힘 김종혁 최고위원은 “최고위에서 사실상 세 가지 사안은 결정이 났다”고 말했다.
최고위 참석자 중 추경호 원내대표만 세 사안에 대해 반대했다. 최고위에 불참한 친윤계 김민전ㆍ김재원 최고위원을 제외하고 모든 최고위원이 세 사안에 대해 동의했다.
김 최고위원은 “최고위가 당 최고 의결 기구”라며 “의총에서 무슨 결정이 내려졌다고 최고위가 귀속되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만 이 같은 대통령 탈당과 국무위원 총사퇴, 지체 없는 국방장관 해임에 더해 추가로 어떠한 대응을 할 것인지, 야당의 하야ㆍ탄핵 공세가 예상되는데 어떻게 헤쳐나갈 것인지 등을 더 논의하기 위해 지도부 간 논의에 그치지 않고 의원총회를 열어 소속 의원들의 총의를 모으기로 했다.
친한계 조경태 의원도 이날 오전 SBS 라디오에 출연해 "지금 야당에서 주장하고 있는 여러 가지 해법에 대해서도 가능성을 열어두고 이 문제를 들여다봐야 한다"며 "총리를 비롯한 국무위원들은 모두 사퇴해야 한다"고 내각 총사퇴를 촉구했다.
그는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로 유ㆍ무형의 비용이 엄청나게 많이 발생했다. 국민께서 상당히 불안한 밤을 지새우셨을 텐데, 이런 부분에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어제 (비상계엄 선포 전)국무회의가 진행됐다면 참석했던 모든 국무위원은 총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유혁 법무부 감찰관은 스스로 사표를 내고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고 소신을 밝히지 않았나"라며 "법무부 감찰관보다 못한 국무위원의 현실 인식 부족이 드러났다. 국무위원의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의 여파로 4일 오전 대통령실 수석비서관 이상 고위 참모진이 일괄 사의를 표명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취재기자단에 "실장ㆍ수석 일괄 사의 표명"이라고 공지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