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의원은 이날 오전 S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당내 다수 의원들의 입장도 그렇고 대통령실의 입장도 달라진 건 없다. 추경호 원내대표도 계속해서 공수처 수사를 지켜보는 게 우선이라고 했고, 공수처의 수사 결과가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면 먼저 (특검법안을)발의하겠다는 입장이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우리는 대표가 한마디 하면 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10~20명의 의원들이 (특검법안을)발의할 수 있겠지만 당내 논의를 거치지 않고 그렇게 발의하는 게 당내 분열만 조장할 것이기 때문에 바람직한 모습도 아니다”라며 “그런데 (야당은)발의하지 못하면 결국 (한동훈 대표가)아무런 권한도 없는 것 아니냐고 하면서 ‘반바지 사장’ 이런 얘기를 하고, (이재명 대표도)‘나는 처음부터 영수회담을 하고 싶었는데 대표 회담을 해도 채해병 특검에 대해 당장 답을 내지 않으면 나는 결국 대통령을 만나러 가야겠다’ 하는 영수회담으로 가기 위한 지렛대를 만들기 위한 게 아니었으면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표 회담을 앞두고 대표는 앞에서 회담을 하자고 하면서 다른 최고위원이나 다른 의원들은 ‘반바지 사장’이라고 하면 민주당의 실세는 개딸이니까 이재명 대표는 ‘핫팬츠 사장’인가”라며 “민주당 의원들은 개딸들에 의해 움직이는 핫팬츠 의원들인가. 이런 것들이 계속 영수회담으로 가기 위한 빌드업 아니겠는가”라고 꼬집었다.
그는 또 한동훈 대표가 대표 회담 관련 의제를 대통령과 사전조율하지 않아 ‘용산 패싱’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정무라인에서 비서실장 회담을 조율하는 실무진과는 충분히 소통하고 있다”며 “정확한 협상 과정을 보면 형식에 관한 논의를 하다가 이재명 대표가 코로나에 걸려 중단이 됐는데 의제가 구체적으로 진전된 것이 있다면 이런 불만이 맞겠지만 지금 논의를 하다가 협상이 중단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어 “조금 더 진행이 된다면 그에 대해 충분히 (대통령실과)협의하면서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까지 이재명 대표가 제안했던 해병대원 특검법, 전국민25만원지원금법, 지구당 부활 등 세가지만 있고 그중에서 어느 것도 어젠다로서 진행된 게 없다”며 “앞으로 진행되는 과정들을 지켜보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