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이재명 "당원권 강화" 약속에 실무 작업 신속 착수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05-21 14:28:1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장경태 "국회의장·원내대표 경선, 당원 참여 20%" 제안도
與 김혜란 "꼬리가 몸통을 뒤흔드는 격...극단적 포플리즘"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국회의장 경선 후유증으로 당원들의 탈당이 이어지자 시ㆍ도당위원장 선출시 권리당원 비중을 높이는 방안으로 당원권을 강화하는 실무작업에 착수했다. 이재명 대표가 '당원 권한을 2배 늘리겠다'는 뜻을 밝힌 이후 신속하게 후속 조치에 나선 것이다.


민주당 최고위원인 장경태 의원은 21일 "작년에 대의원 한 표는 권리당원 20표를 넘지 않도록 하는, 표의 등가성에 대한 당헌 개정이 있었고 소위 대의원 30% 권리당원 45% 고정비율로 치르던 전대룰을 변동비율로 변경, 전준위에서 그 비율을 정하도록 했다"면서 "시ㆍ도당위원장 경선은 경미하기 때문에 현재의 대의원 50, 권리당원 50를 당헌 원칙에 맞춰 앞으로 개정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MBC 라디오에 출연한 장 의원은 '그럼 구체적으로 개정 내용까지 나온 건 아니냐'는 진행자 질문에 "호남 같은 경우는 대의원 5% 대 권리당원 95% 해야 할 정도로 당원이 워낙 많아서 전국적인 판세를 분석해서 종합적으로 결정할 사항"이라고 답변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당원권 확대와 관련해)전날 비공개 최고위 회의에서 최고위원 간 설전이 있었다는데 맞냐'는 진행자 질문에는 "어떤 게 더 바람직한 방안이냐는 토의를 했을 뿐 설전은 없었다"면서 "아이디어 차원의 의견 개진이 많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의장이나 원내대표는 국회의원들이 결정하는 게 원칙상 맞는 게 아니냐'는 지적에 "모든 의정활동 관련 직무가 결국 국민과 당원을 위한 활동 아니겠냐"며 "그분들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통로를 보장하는 것이 더 건강한 민주주의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반박했다.


특히 '국회의장과 원내대표 경선 때 권리당원 의견을 10% 반영하자'는 김민석 의원 제안에 대해 "상당히 공감하는 안"이라면서 "저는 당원 참여가 20% 정도는 돼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한 발 더 나갔다.


앞서 김어준씨 유튜브 채널에 출연한 김민석 의원은 "정치학자들이 말이 안 된다 하실 수 있다"면서도 "권리당원 의견을 10%를 반영하는 것을 시작으로 당원이 '캐스팅보드' 역할을 해야 한다. 당과 당원이 일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새로운 정치사를 쓰는 것이 민주당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당내에서도 강성 친명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당심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전날 최고위 회의에서 "국회의원 중심의 원내정당에서 당원과 지지자 중심의 대중정당으로 틀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고, 최민희 당선인은 야권 성향의 온라인 커뮤니티에 "당원ㆍ지지자와 당선인들 간 생각의 차이가 있어 보인다"며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최 당선인은 "당원들이 다 옳다는 것이 아니라 그 오만한 태도가 문제였다"며 "'수박'(비명계 비하 지칭)들이 욕먹은 것도 그 태도 때문"이라고 '수박론'을 꺼내 들기도 했다.


민주당 사무처 당직자 출신 당선인들(김태선ㆍ권향엽ㆍ윤종군ㆍ이기헌ㆍ정을호)들도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의장과 원내대표 경선에도 당원 참여를 보장할 수 있는 권한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김혜란 대변인은 "일부 극단적 지지자들에 의해 휘둘리고 있는 민주당의 현실을 여실히 보여주는 한 단면"이라며 "그야말로 꼬리가 몸통을 흔드는 격"이라고 직격했다.


김 대변인은 이날 '강성 팬덤에 의한 극단적 포퓰리즘은 우리 사회의 독' 제하의 논평을 통해 "민주당이 차후 국회의장 경선, 시도당위원장 선출 등 당내 선거에 당원 참여를 더욱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이같이 날을 세웠다.


이어 "국회의장 후보 선거 결과에 사과까지 하며 민주적ㆍ절차적 정당성을 부정하는(등) 민주주의의 기본 가치를 뒤흔들어서라도 소위 ‘개딸’들의 환심을 사겠다는 것"이라며 "이 ‘개딸’들은 이재명 대표를 맹신하며 일극 체제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문제는 민주당이 입법부를 장악한 거대 야당이라는 점"이라며 "강성 지지층에 짓눌려 대화와 타협이 사라진 22대 국회가 되지는 않을지 벌써 우려가 앞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가의 중요한 정책적 결정조차도 일방적으로 정해진다면 그 부담은 우리 사회 전체에 부메랑처럼 돌아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