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체제 이후는 비대위가 맞다

시민일보 / siminilbo@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3-12-13 14:44:37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주필 고하승



국민의힘 친윤 핵심 장제원 의원의 불출마선언 직후 김기현 대표가 "사즉생의 각오로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겠다"라고 말한 후 잠행에 들어갔다.


사실상 대표직 사퇴를 염두에 둔 발언이자 행보로 해석된다.


그가 사퇴하면 현재의 당 지도부는 와해 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당 안팎에선 김기현 체제 붕괴 이후 어떤 지도체제로 총선을 이끌어야 할지를 두고 여러 논의가 나오고 있다.


우선 당장 거론되는 것이 윤재옥 원내대표의 당 대표 권한대행 체제다.


김 대표가 당 대표 자리에서 물러나더라도 선출직 최고위원들이 그 자리를 그대로 지키고 있으면, 단지 당 대표 한 사람만 바뀌는 것이어서 지도부 자체가 와해 되는 것은 아니다.


당헌 당규에 '선출직 최고위원 4명 궐위시 비상상황'이라고 규정된 만큼 선출직 최고위원(김병민 조수진 김가람 장예찬)이 모두 사퇴해야만 지도부가 와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선출직 최고위원들이 버티면 비대위를 구성할 수가 없다. 그냥 윤재옥 권한대행 체제로 가야만 하는 것이다.


하지만 당 대표가 물러나는 마당에 최고위원들은 뒷짐 지고 나 몰라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당 대표가 사퇴하면 지도부가 총사퇴하는 게 일반적인 모습이다.


특히 당의 ‘투톱’인 원내대표가 당 대표 물러난 기회를 틈타 그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옳지 않다. 과거 이준석 대표가 당원권 정지로 당 대표의 권한을 행사하지 못하게 되자 권성동 당시 원내대표가 권한대행 체제로 당을 이끌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고 권한대행직은 물론 원내대표자리까지 내어준 바 있다.


윤 원내대표가 그런 우(愚)를 되풀이해선 안 된다. 성품상 그럴 사람도 아니다.


문제는 급격한 변화를 두려워하는 일부 기득권 세력들이 윤 원내대표의 권한대행 체제를 선호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들은 윤재옥 권한대행 체제로 가면서 조기에 선거대책위원회를 띄우고 공천관리위원회를 구성하는 방안을 거론하고 있다.


하지만 공관위 결정에 대한 최종 의결권을 지도부가 갖는 만큼 권한대행 체제로는 한계가 있다. 최고위가 공관위 결정을 일부만 수용하고 일부는 배제하는 의결을 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그런 공관위라면 당 밖의 명망가들이 참여할 리 만무하다.


따라서 윤재옥 대행체제에서 선대위나 공관위를 조기 구성하는 것 역시 대안이 될 수 없다.


그러면 어찌해야 하는가.


김기현 대표가 ‘사즉생’의 각오로 어렵게 결단을 했다면, 최고위원들도 모두 동반사퇴해 비대위 체제로 갈 수 있는 길을 ‘활짝’ 열어 주어야 한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 같은 간판급 인사를 비대위원장으로 추대하고, 그를 전면에 내세워 총선을 진두지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런 정도의 당 지도부혁신, 즉 뼈를 깎는 변화를 모색하지 않으면 백약이 무효다.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으라는 말이 있듯이 공관위와 선대위 구성은 새로운 지도부인 비대위에 맡겨야 한다.


그리고 비대위는 오직 선거 승리만을 바라보며 선대위원장과 공관위원장 임명에 각별한 신경을 써야 한다. 특히 공천 문제가 예민한 만큼 공관위원장만큼은 당내 인사를 임명해선 안 된다. 지난 20대 총선에서 김형오 공관위원장의 실패를 답습해선 안 된다는 말이다. 당내 인사는 자신과 이해관계가 있거나 사적 인연이 있는 사람들을 심기 위해 무리수를 두는 일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정치 경험이 풍부한 당 밖의 인사, 그러면서 정치적 욕심을 내려놓은 인사, 과감하게 혁신적으로 국민의 박수를 받는 공천을 단행할 수 인사를 선임하면 과반 의석을 차지하는 건 꿈이 아니라 현실이 될 수도 있다. 그러자면 우선 비대위 체제가 출범해야만 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