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고민정 최고위원은 20일 오전 MBC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이재명이라는 대선 후보의 입장에서 보면 너무 많은 리스크를 안고 가는 선택”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2020년에 비슷한 상황이 있었는데 소수정당이었다가 거대여당이 된 이후 당시 대선 후보로 유력했던 이낙연 후보가 당 대표가 됐었다. 당시에도 저는 너무 많은 리스크를 떠안고 갈 우려가 있다며 이낙연 대표의 출마를 반대했었는데 목표를 대권에 둬야지, 당권에 둬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는데 결국 당권을 가지고 가셨고 그 리스크를 다 안을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흘러갔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당원의 한 사람 입장으로 봤을 때 이재명 대표가 (당 대표가)되든, 누가 되든 상관이 없는데 다만 윤석열이라는 거대한 힘과 싸워야 하기 때문에 힘 있는 사람이 되는 것이 당의 입장으로서는 좋고 그래서 이재명 대표만한 사람도 없지만 이재명이라는 사람은 대선 후보를 갈 사람이고, 그런 입장에서 봤을 때 그게(연임이) 가장 최선의 선택일까에 대해 반문을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표적 ‘친명’인 김영진 의원도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그간 국회의장도 당 대표도 한 번 더 하고 싶지 안 하고 싶었겠나. 정치적 불문율에 따라 연임하지 않은 것”이라면서 “그런 게 지금은 다 무너졌다”고 성토한 바 있다.
그는 ‘이 대표의 연임을 반대하는가’라는 질문에 “그것도 심각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 입장”이라며 “하기 힘든데 주변에서 하라고 하니까 한다는 이런 논리로 연임은 안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이 대표 주변 초선 중에 충성파가 너무 많다. 생각도 없이 좋다고만 한다”며 “이럴수록 공개적인 논쟁과 토론이 필요하다. 이 대표와 개인적으로 논의해서 수정하고 할 성질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금의 (당)방향은 이 대표와 민주당의 대선 승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재명 대표는 자신이 21일 대표직에서 사퇴하고 연임 도전을 선언할 것이라는 관측이 일부 언론에서 제기되자 “아직 고민 중”이라고 일축했다.
이 대표는 지난 19일 오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같은 내용의 언론 보도에 대해 “기사가 났는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