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장관은 이날 오전 C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정부는 이 부분에 대해 계속 강조했고, 2025학년도 입시는 지금 진행 중이다. 수능 시험도 끝났고 벌써 합격자 발표도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이걸 지금 조정하자는 건 입시의 안정성을 크게 훼손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또 의대 입시의 경우 정부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에 관련되는 인력 수급 이슈인데 그 인력 수급을 발표하고 그걸 이행해야 할 책무가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제안들을 해 주시지만 다 받아들이기에는 불가능하다는 걸 계속 설명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갑자기 2배 가까이 늘어난 인원을 교수들이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정부가 인원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질을 계속 높여야 한다. 그래야 좋은 인력이 양성이 되기 때문”이라며 “교수도 1000명 더 늘려서 제공하기로 했고, 지금 300명 정도 뽑는 절차에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근 교수분들도 계시는데 그분들은 항상 교수가 되길 원하시는 분들”이라며 “그런 분들 중 채용할 수 있고 1000명 증원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전공의측이 ‘2025학년도 증원 원점 재검토’를 주장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계속 대학과 소통하고 있고 최근 저희가 휴학 승인을 해주면서 의대 학장단에서도 교육 정상화를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화답을 해 주셨다”며 “대학측과 긴밀하게 학생들이 돌아오도록 노력을 같이 하는 논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어떻게 보면 1년을 허비한 것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희생은 막아야 한다는 각오를 가지고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서로 신뢰를 쌓아 가면 2025학년도 입시의 경우 어쩔 수 없다는 걸 이해하실 수 있을 것”이라며 “2025학년도 정원 문제를 자꾸 얘기하는데 2026학년도부터는 열어놨다. 추계기구를 통해 합리적으로 추계해서 거기에 기반해서 대화하자는 것이기 때문에 서로 빨리 타협하고 대화할 수 있는 합의를 이뤄내면 아이들(전공의)이 다 돌아올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