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으로 인해 연합 정치 정신 훼손된다는 입장 전해"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더불어민주당 주도의 비례위성정당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1번 후보로 선출됐던 전지예 금융정의연대 운영위원이 12일 후보직 사의를 표명했다.
전 위원은 더불어민주연합의 시민사회 몫 비례대표 후보로 선정됐다가 '반미 단체' 출신임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었다.
시민사회 추천 비례대표 후보를 추천한 '연합정치시민회의'측 관계자는 이날 언론에 "전 위원이 본인으로 말미암아 연합 정치의 정신이 훼손된다는 입장을 전하면서 사퇴 의사를 표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전 위원)자신으로 인해 야권 비례정당 전체가 논란에 휘말려들 수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고 밝혔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총학생회장을 지낸 전 위원은 한미연합훈련 반대 시위 등을 한 '겨레하나' 활동가 출신이다.
이 때문에 더불어민주당은 더불어민주연합측에 전 위원의 '반미 활동 전력' 등을 들어 우려를 표하며 사실상 후보를 재추천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논란에 대해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정치인이 그런 생각을 가질 수 있지만 그런 분을 제1당 비례1번으로, 주류로 신원보증해서 대표선수로 올리는 건 다른 이야기"라고 비판한 바 있다.
한 위원장은 "민주당이 총선을 이기면 어떤 의미를 민주당 스스로 부여하겠는가. 국민이 한미연합사 폐지나 주한미군 철수를 허락한 거라고 하지 않겠나"라며 "(비례후보)한명 바꾼다고 해결될 게 아니라 정책적으로 얘기해보자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민주당이 비례위성정당을 만들면서 야권연대를 추진해 급진 좌파 인사들의 국회 입성길을 열렸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민주당은 '종북ㆍ반미 세력과의 연대'라는 비판이 나오자 전지예 운영위원 등을 추천한 시민사회계에 후보 재추천을 요구하며 뒷수습에 나서기도 했지만 전지예 후보 한 사람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지적이다.
더불어민주연합에 추천된 시민사회와 진보당의 비례대표 후보자 면면을 보면 대다수가 반미ㆍ친북 활동을 전개해왔다는 것이다.
시민사회가 여성 비례 2번으로 선정한 정영이 전국농민회총연맹 구례군농민회장 역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배치 반대에 앞장서 온 인물이다. 진보당이 추천한 3인 역시 이미 논란이 됐다. 진보당 장진숙 공동대표는 대학 시절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수배받은 전력이 있다.
전종덕 전 사무총장과 손솔 수석대변인도 내란음모죄로 형을 받은 이석기 전 통합진보당 의원의 사면을 주장하고 국가보안법 철폐를 주장해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