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원 “나랏돈 떼먹는 데 혈안…민주당 재산으로 해라"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3남 김홍걸 전 의원 소유였던 김대중 전 대통령 동교동 사저가 지난 7월24일 사업가 박 모씨 등 3명에게 약 100억원에 매각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불거진 논란이 급기야 정치권으로 옮겨 붙는 모양새다.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인 정청래 의원이 “동교동 사저를 국비와 서울시비, 마포구비를 보태서 매입해 문화유산화하자"고 제안한 발언이 화근이 됐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김재원 최고위원이 8일 "이 나라 좌파들은 나랏돈을 떼먹는데만 혈안이 돼 있는지 모르겠다"며 받아치고 나선 것이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중앙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형제 간에 소송까지 해서 돈을 다 빼간 집을, 상속세 핑계를 대면서 국고로 매입해 문화유산으로 남긴다면 과연 국민이 동의하겠냐"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이어 "동교동 사저는 이희호 여사가 김홍일ㆍ홍업ㆍ홍걸 3형제가 골고루 나눠 가지라고 유언했는데 유언 요건이 제대로 되지 않아 홍걸씨가 홍업씨하고 소송 해서 재산을 독차지했다"며 "차라리 홍걸씨가 처음부터 재산을 유지하기도 어렵고 상속세를 부담하기도 어려우니까 나라에서 유지해주면 좋겠다고 하면 그건 별도 문제"라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동교동 사저는 현대사에서 큰 족적을 남긴 김 전 대통령께서 민주화 운동의 근거지로 삼았고 우리가 보존해야 하는 역사적으로 훌륭한 업적이 남아있는 장소임에는 틀림없다"며 "박지원 의원이 사재 7억원 정도 낸다고 하니 민주당에서 100억원 정도 마련해서 민주당 재산으로 매입했으면 좋겠다"고 역제안했다.
그러면서 "나랏돈 떼먹는 일에 너무 골몰하지 말고 제발 땀흘려 일하고, 그 돈으로 살아갈 궁리를 하는 이 많은 대한민국 국민 고통을 함께 이해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동교동계인 새로운미래 전병헌 대표도 지난 5일 동교동 사저 앞에서 “매각을 백지화하라”고 목소리를 높였고, 같은 당 이낙연 전 대표도 “사저는 DJ가 목숨을 걸고 저항했던 위대한 증거”라며 매각 철회를 촉구했다.
한편 김홍걸 전 의원은 사저를 매각한 배경과 관련해 '문화재 지정을 위해 노력했으나 여의치 않아 사저를 민간 기념관처럼 쓸 수 있게 하겠다는 사람에게 매각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한 김 전 의원은 '서울시가 사저를 기념관으로 만들도록 박원순 시장과 얘기가 됐다'는 내용의 고 이희호 여사 유언장이 있었으나 이 여사가 별세한 2019년 당시 박원순 서울시장은 '처음 들었다'고 반응했다는 등 저간의 사정을 설명했다.
김 전 의원에 따르면 그 과정에서 법적 절차를 거치지 않은 유언장은 무효가 됐고 결국 3형제 중 유일한 친자인 자신에게 사저가 자동으로 상속됐다.
이후 서울시와 접촉하면서 문화재 지정을 위해 노력했으나 '(건물을 부수고 재건축해서) '지은 지 50년이 넘어야 한다'는 규정을 맞추지 못했고 상속세 미납으로 인한 국세청의 근저당 조치 때문에 뜻을 이루지 못했다.
특히 김 전 의원은 '보유 재산 등을 고려하면 매각이 성급했다'는 진행자 지적에 "부채가 많다"며 "제가 상속세를 못 내면 사저가 경매로 넘어갈 것이고, 상속세를 내고 명의를 유지하더라도 드나드는 사람 없이 폐가가 되면 의미가 없다"고 반박했다.
또한 '민주당이나 권노갑 김대중재단 이사장 등과 상속세 문제를 논의한 적 있냐'는 질문엔 "(권 이사장에게 사정을)말씀드리니 '알아서 잘 정리하라'고 했다"며 "정치권에서는 한 통의 전화도 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특히 “박지원 의원의 경우 전재산도 내놓을 수 있다고 하셨는데 어머니 돌아가신 후로 동교동 일과 관련해 저한테 전화를 주신 적이 없다”고 일축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