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ㆍ빅데이터 활용 과학적 재난관리체계 구축도
[창원=김점영 기자] 경남도가 올해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고 도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850개 사업에 총 1조9895억원 규모의 재난안전예산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이는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지난 2023년 예산 1조9301억원 대비 3.1% 상승한 것이다.
재난안전예산은 풍수해, 산사태, 폭염 등 자연재난과 산불 및 각종 시설물 사고 등 사회재난에 더해 범죄예방, 재난 구호, 안전취약계층 지원까지 안전과 관련된 전분야에 투입돼 더욱 촘촘한 도민안전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도는 사회재난 및 안전사고 분야(20개 유형ㆍ570개 사업)에 1조586억원(53.2%), 자연재난 분야(6개 유형ㆍ55개 사업)에 5976억원(30.0%), 재난구호ㆍ복구 등 공통 분야(6개 유형ㆍ225개 사업)에 3333억원(16.8%)을 투입한다.
주요 재난 유형별로는 풍수해 4917억원, 산사태 357억원, 산불 231억원, 도로안전 972억원, 범죄 예방에 321억원을 편성했고, 민선 8기 경남도정에서 중점 추진하는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안전취약계층 지원에 1529억원을 편성했다.
특히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신기술과 접목한 재난ㆍ안전관리가 필요한 시대흐름에 발 빠르게 대응해 재난 예측과 신속한 현장 대응을 위한 경남형 과학적 재난관리체계 구축에 힘쓴 것이 눈에 띈다.
대표적으로 전국 최초로 기상상황을 확인하고 시ㆍ군 재난 예ㆍ경보시설을 연계해 재난상황을 통제할 수 있도록 개발한 스마트통합방재시스템 고도화 등 재난정보통신시스템 관리에 약 3억원, 치안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지능형 CCTV 확대에 10억원 등을 투입한다.
또한 올해 하반기부터 웹 기반의 스마트 안전점검 관리시스템도 본격적으로 도입 운영할 계획이다.
도는 태풍의 길목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상 매년 태풍, 장마 등으로 인한 풍수해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우기 전 재해예방사업도 서둘러 추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