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개딸, 특검3법 합의안 파기 배후세력?...영향력 확대에 눈치 보기 늘어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5-09-14 12:50:46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최수진 “모든 게 개딸 영향력에 굴복한 결과...민주당 진정한 리더는 누구냐”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3대 특검법 개정안 관련 여야 합의를 파기하는 과정에서 공개 충돌한 더불어민주당 '투톱'의 갈등이 확전 없이 봉합되는 분위기이지만 파기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이른바 ‘개딸’(개혁의딸ㆍ친명계 강성 지지층)의 영향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최수진 원내수석대변인은 14일 논평을 통해 "여야가 어렵게 합의한 3대 특검법을 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일방 파기했다”며 “그 배경에 이른 바 개딸 정치가 결과를 좌지우지했다는 흉흉한 소문이 정치권에 파다하다"고 지적했다.


최 원내수석 대변인은 이날 "내부 분란을 못 막겠다면 차라리 ‘더불어개딸당’으로 당명을 바꾸라"면서 이같이 비판했다.


특히 "민주당의 진정한 리더는 누구냐. 혹시 이재명 대통령도, 정청래 대표도 아닌 '개딸리더십'에만 기대고 있지 않은지 스스로 돌아보기 바란다"며 "이 모든 게 개딸의 영향력에 굴복한 결과여서 한탄스럽다"고 거듭 날을 세웠다.


이어 "10일 저녁 양당의 원내대표가 특검법 합의 내용을 발표한 그 순간부터 밤새도록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거센 비난의 글이 쏟아졌고, 지도부를 향한 개딸들의 문자 융단폭격은 테러와 맞먹는 수준이었을 것"이라며 "대통령도 국회의원도 다 본인들 손으로 만들었다는 자만이 도를 넘어섰고, 그러다 보니 민주당 정치인들은 개딸이 좋아할 만한 말과 행동만을 골라 하며 그들에게 이쁨받는 데에만 몰두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부 상식적인 민주당 의원들은 심각한 자괴감을 느끼고 있고, 오히려 개딸과 같은 강성 지지자들 때문에 분란이 증폭하는 모양새"라며 "일부 강경 개딸들의 입김에 당이 흔들린다면 그들만을 위한 정당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민주당 관계자도 “개딸들이 정부조직법 개편안의 원만한 처리를 위해 당 지도부 차원에서 결단한 국민의힘과의 첫 합의를 뒤집게 만든 것”이라며 “사실상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가 반성문을 쓰도록 했다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고 밝혔다.


실제 지난 10일 저녁 국민의힘과 합의 발표한 특검3법 개정안이 14시간 만에 파기된 과정에서 개딸들의 집단행동이 결정적 원인이라는 데 이론이 없다는 지적이다.


합의 사실이 보도된 직후 온라인과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거센 비난이 쏟아지자 협상 당사자인 김병기 원내대표가 "정청래한테 사과하라고 하라"며 격앙된 반응으로 반발한 것도 같은 이유라는 것.


개딸들은 지난 2024년 민주당 국회의장 경선과 올 4월 대선ㆍ개헌 동시 투표 번복 사태 때도 그 영향력을 과시한 바 있다.


앞서 지난 2024년 5월 개딸들은 당시 국회의장 경선에서 친명계인 추미애 후보를 위해 경쟁자인 우원식 후보의 사퇴를 압박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후 민주당은 지지율 하락사태로 몸살을 앓는 등 이에 대한 대가를 치러야 했다. 이를 계기로 국회직인 국회의장 및 원내대표 선거에도 당심 20% 반영 등을 결정하면서 '개딸 달래기'에 나선 것이다.


이와 함께 대선 직전인 올해 4월엔 우 의장이 '대선-개헌 동시 투표'를 제안했으나 개딸들 반대에 밀려 사흘 만에 이를 철회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이 이른바 당원 주권 실현 명목 하에 각종 선거에서 당원 참여를 확대해 개딸의 영향력을 키운 결과라는 지적이 나온다.


당 관계자는 "의원들이 단순히 눈치보는 차원을 넘어 실제 선거와 직결돼 있어 당심을 거스르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며 “의원들이 자신의 주가를 높이기 위해 강경 지지자들이 좋아할 만한 언행만 골라서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전했다.


수도권의 한 의원도 "국회의원은 한 사람 한 사람이 헌법기관인데 요즘은 특정 사안에 대해 자기 의견을 말하기 어렵다"며 "가령 노란봉투법 같은 경우도 법을 처리하더라도 과거라면 세부 내용을 놓고 여러 우려 목소리가 당내에서 나왔을 텐데 잠잠한 것은 '잘못 찍히면 죽는다'는 생각 때문이다. 그래서 자괴감을 호소하는 의원들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