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혁 전 최고위원 14일 “특검이 한동훈 전 대표가 참고인으로 나오지 않자 구인장을 발부받아 (법원에)강제로 끌어오겠단다”며 “한동훈은 목숨 걸고 비상계엄 막은 사람 아니었냐”고 날을 세웠다.
김 전 최고위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계엄 전)김민석 총리는 비상계엄이 터질 거라고 예언해 거의 모든 사람이 말도 안 되는 주장이라고 했는데 총리님(예언)이 맞았다”면서 “그러니 특검은 하루 속히 김 총리를 참고인으로 소환해 누가 그토록 소름끼치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했는지 확인하라. 만일 거부하면 구인장 발부하라”고 강조했다.
특히 “김 총리에게 정보를 준 인물은 그 무시무시한 얘기를 누구한테 들었을까”라며 “이재명 대통령도 이석연 변호사(현 국민통합위원장)에게 비상계엄 며칠 전 비슷한 얘기를 했다는 보도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원식 국회의장은 (당시)150명 이상 의원들이 본회의장에 모였는데 왜 당장 표결하지 않고 이재명 민주당 대표 입장 직후인 새벽 1시를 넘겨 표결했는지 특검이 확인해 달라”면서 “김어준씨는 어디서 정보를 받아 인민군복을 입은 특수팀이 한동훈을 비롯한 정치인들을 사살할 거라고 국회에서까지 증언했는지 특검은 김어준씨를 소환 또는 구인해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박상수 전 대변인도 이날 “김민석 의원(김 총리)이 당시 계엄 해제 표결에 오지 않은 이유가 정말 궁금했다”며 “김어준의 ‘한동훈 사살설’ 주장은 왜 참고인 조사 한번 없이 묻히느냐”고 따졌다.
특히 “한 전 대표는 ‘책(저서)’과 ‘KBS인터뷰’를 통해 (계엄 당시)기억을 생생히 남겨뒀다”며 “(반면)김 총리나 우 의장, 김어준씨는 (관련)증언을 정리해놓지 않았다. 이 대통령조차 김어준씨 방송에서 장난스럽게 떠들던 것외에는 체계적인 증언을 남기지 않았다. 도대체 왜일까”라고 비판했다.
박 전 대변인은 페이스북을 통해 “계엄 이후 느낀 의문들"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특검은 왜 김민석, 김어준, 우원식에 대한 조사를 하지 않느냐"면서 "이 부분에 대한 국민적 의문에 대해 밝힐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 전 대표도 “(민주당이)특검의 무능과 무리수를 편들수록 국민들은 특검을 ‘민주당 지휘를 받는 하명 수사기관’으로 생각하실 것”이라며 “누구보다 앞장서 계엄을 저지했던 저를 민주당이 비난할 자격이 있느냐”고 반발했다.
한 전 대표는 최근 유튜브를 통해 “(강제구인)할 테면 하라. ‘정치적 선동’과 ‘무능’으론 진실을 규명할 수 없다”면서 이같이 비판했다.
특히 “(당시 윤석열)대통령을 독대해 여인형 방첩사령관 등 계엄 핵심 군인을 직무 배제시켰고, 대통령의 ‘질서있는 조기퇴진’을 시도했다”며 “제 정치생명보다, 신체의 안전보다 국민을 먼저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검과 편먹고 저를 원색 비난하는 민주당에 묻는다”며 ‘12.3 계엄 닷새 전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계엄을 걱정했다’는 이석연 전 법제처장의 지난 1월 발언, 민주당 최고위원이었던 김민석 총리의 ‘여의도 자택에서 감기약 먹고 잤었다’는 발언의 진위를 확인하라“고 촉구했다.
또한 “김어준씨는 ‘북한군 위장 한동훈 사살계획’ 정보를 어떤 경로로 받은 건지(등) 특검이 조사할 것들은 이런 것들”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특검은 참고인 조사 요청을 거부한 한 전 대표를 상대로 ‘공판기일 전 증인신문’을 법원에 청구했고 이를 서울중앙지법 전은진 판사가 지난 12일 인용했다.
이에 따라 한 전 대표는 오는 23일 오후 2시 법원의 증인신문을 위해 소환에 응해야 한다.
하지만 한 전 대표는 페이스북을 통해 “12.3 비상계엄 당시 당대표로서 누구보다 먼저 여러 의원, 당협위원장, 당직자들과 함께 위법한 계엄 저지에 앞장섰다”며 “그 자세한 경위는 지난 2월 발간한 책, 언론 인터뷰 등으로 전부를 이미 밝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며 “그 이상의 내용에 대해 말할 것이 없다”고 불응 의사를 밝혔다.
한 전 대표가 ‘정당한 사유’ 없이 법원 소환에 불응할 경우 강제구인, 과태료에 처해질 수도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