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선 지하화 논란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3-02-25 17:44:3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수도권 사회부장 박생규 경기도 고양시 복선전철의 지하화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철도 지하화를 원하고 있는 고양시의회가 지난해 시 도심구간을 오픈터널식(개방형 방음벽)으로 철도를 지상 건설키로 건교부에 의해 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들어 시민·사회단체들이 지하화에 동참하면서 다시 붉어지기 시작한 것이다. 이로 인해 2004년말 완공 예정이던 것이 2006년말로 연기된 뒤 또 다시 2008년말 완공으로 최종 수정됐으나 이번 지하화 논란으로 다시 한번 연기될 위기에 놓였다.

철도청은 이로 인해 지하화 추진에 대한 용역결과 건설비가 3배 가량 늘어나고 공사 지연이 3년 정도는 늦춰질 수밖에 없다고 한다.

또한 이번 사업이 현재의 광역철도 부담금 비율에 의하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비율이 75:25로 이뤄져 있는 사회간접자본(SOC)사업 특성상 사업비 증액이 어렵다는 입장이라고 한다.

이에 대해 시의회는 추가비용은 주로 고양시를 위한 것으로 중앙정부와의 비율을 50:50까지 분담하겠다고 나섰다.

시의회는 여기에 도심지의 지하철 구간은 시민이 요구하는 상황이며, 만약 지상으로 연결될 경우 일산시와의 통행에 상당한 불편을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고양시의 상당부분은 거주 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당초 공사기간 연장은 말도 안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렇게 주장하는 시의회가 지하화로 인한 공사기간 연장에 대해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나선 것은 참으로 아이러니 한 일이다.

전문적으로 철도공사를 해온 철도청이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용역을 의뢰해 실시한 조사 결과를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것은 좋다고 하면서 조금이라도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은 완강히 부인하는 지역 이기주의를 보는 듯 하다.

이들의 주장대로 공사 연장이 지연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철도청이 주장한 3년 보다 더 걸릴 수도 있다. 책 한 권의 머리말만 읽고 마치 한 권의 책을 다 읽은 것 같은 착각이라고 할 수 있다.

대화는 자신의 마음을 열고 상대방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세가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철도청 또한 공사를 강행해야 하는 입장에서 자신들의 입장만을 내세우며 주민들의 의견을 뒷전으로 하는 것은 아직도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권력주의의 단면을 보는 듯해 씁쓸함을 느끼게 한다.

결과적으로 서로 자신이 옳다고만 할 뿐 남의 말은 경청조차 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 하겠다. 고양시를 통과하는 경의선은 향후 남북육로 화물수송의 핵심이 될 것이며, 이로 인해 주민피해가 발생해서는 안될 것이다.

시의회와 철도청이 자신들의 주장만을 내세움으로써 지속적으로 지연되는 것은 지역주민과 대북 화해무드로 이어지고 있는 국가 발전에 저해요소로 작용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