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을 행복하게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5-01-02 19:51:1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이 영 란 정치행정부장 {ILINK:1} 신년 들어 주위에 ‘희망어린 덕담’이 넘친다.

그러나 돌아보면 여전히 암울한 표정이다.

새롭게 출발하는 시간인 만큼 어지간하면 희망에 넘치기도 하련만 마음이 좀처럼 펴지지 않는 이유는 뭘까.

굳이 탓을 하자면 여전히 팽팽한 대립각으로 한랭전선을 구축하고 있는 우리사회의 편가름으로 인한 후유증 때문인 것 같다.

그 폐해가 가장 심한 곳은 정치권이다.

누구를 위한 것인지는 몰라도 그처럼 온몸으로 부딪치는 정치공방으로 정신이 없더니 정치권이 이번에는 자신들의 칼끝을 내부 힘의 역학관계로 돌리면서 정국을 고조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같은 현상이 여야 내부는 물론 2월 임시국회로 미뤄진 국가보안법 등 주요 쟁점법안의 처리향배, 나아가 여야관계 전반에까지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점에서 결코 간단한 문제가 아니라는 게 중론이다.

실제로 ‘4대 입법’ 협상을 주도했던 여야 지도부가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는 형식으로 잇따라 당직을 사퇴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도부 교체 요구가 이어지는 등 각 당의 당내 분위기는 심상치 않다.

열린우리당의 경우, 천정배 원내대표와 원내부대표단이 지난 1일 새벽 임시국회 폐회 직후 개혁입법의 ‘연내 일괄처리’ 무산에 따른 책임을 지고 사퇴를 했다. 그런데도 이부영 당의장의 인책론이 제기되는 등 좀처럼 그 여진이 가라앉을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한나라당이라고 해서 사정이 다른 것은 아니다.

김형오 사무총장과 임태희 대변인, 진 영 대표비서실장 등 핵심 당직자들이 사퇴의사를 밝힌데 이어 영남 출신 및 보수성향의 중진들을 중심으로 김덕룡 원내대표의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당내 갈등이 개연화될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다.

엊그제 공무원 노조에 대해 쟁의행위를 포함한 단체행동권과 정치활동을 금지하는 내용으로 국회를 통과한 ‘공무원 노조법’도 사회적 갈등을 내포한 ‘폭탄’이 됐다.

공무원 노조측은 “이름만 노조법인 법으로 공무원 노조를 무력화시키려 한다”며 “법이 폐지될 때까지 투쟁을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고 정부측은 정부측대로 강경태세를 늦추지 않고 있다.

저마다 각자의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줄다리기를 하는 것은 좋다.

그러나 정치권이나 공무원 조직, 정부 조직이 잊고 있는 가장 중요한 한가지가 있다.

바로 ‘국민을 위해 존재한다’는 자신의 본분을 잊고 있는 것이다.

정치권이나 공조직은 스스로의 행복 추구에 앞서 우선 국민의 행복부터 챙겨야 한다. 그런데도 만연된 조직 이기주의가 국민을 힘들게 한다.

신년부터는 국민의 행복을 외면한 ‘조직 이기주의’는 설자리도 없도록 하자.
그래서 더 많은 국민들이 따뜻한 가슴으로 행복해질 수 있도록 하자.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