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평형대 중소형 전세는 물건이 부족해 가격이 오르는 반면 40∼50평형대 이상 대형의 경우 전세물건이 남아 돌아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것.
이에 따라 30평형대 전셋값이 50평형대와 비슷하거나 평당가로 환산하면 오히려 더 높은 ‘역전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20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경기 용인 수지읍 신봉지구 일대 50∼51평형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해말 2억원에서 이달 1억6000만원으로 떨어졌다.
반면 이 일대 32평형 아파트로는 전세 수요가 몰려 최근 1억5000만∼1억6000만원선까지 전셋값이 뛰었지만 물건이 거의 없다.
신봉동 P공인 관계자는 “신학기와 봄 이사철에도 50평형대 전셋집을 찾는 수요가 거의 없다”며 “전셋집은 투자가치가 아닌 순수 거주 개념으로 접근하는 만큼 평수가 큰 물건보다 관리비가 적게 나오는 중소형의 선호도가 높다”고 말했다.
용인 동백지구 일대도 마찬가지다. 동백지구 동일하이빌 전셋값은 32평형 1억3000만∼1억5000만원선, 43평형 1억5000만∼1억6000만원선으로 30평형대와 40평형대가 비슷하다.
파주시 교하지구도 중소형과 대형 아파트의 전셋값이 비슷하다. 교하2차 월드메르디앙의 평형별 전셋값은 33평형 8000만원선, 44평형 9000만원선, 54평형 1억원선이다. 하지만 40∼50평형대는 실제 계약에서 1000만원 정도 낮은 값에 전세 계약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을 평당가로 환산하면 중소형이 대형보다 훨씬 높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용인시의 평형별 환산 전셋값은 36∼40평형이 평당 391만원으로 가장 높다. 이어 △41∼45평형 371만원 △46∼50평형 336만원 △51∼55평형 323만원 등으로 평수가 클수록 전셋값이 낮다.
화성시 역시 36∼40평형대가 평당 328만원으로 가장 비싼데 비해 51∼55평형의 전셋값은 평당 269만원에 불과하다.
김포시는 31∼35평형이 평당 306만원, 파주시는 36∼40평형이 평당 250만원으로 최고가를 기록했다. 두 지역 모두 55평형 초과 대형은 각각 평당 209만원, 160만원 등으로 전 평형을 통틀어 가장 낮다.
부동산114 김규정 차장은 “전셋값은 중소형이 먼저 오르고 중대형이 뒤따라 오르는데 올 봄 이사철은 중소형만 반짝 강세를 보이고 중대형으로 번지지 않았다”며 “쌍춘년 결혼수요, 학군 수요가 사라지면서 전세난이 수도권 전역으로 확산되지 않은 것도 전셋값 역전현상의 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경남 합천군, 쌀 산업 위기 극복 팔걷어](/news/data/20251119/p1160278499965424_411_h2.jpg)
![[로컬거버넌스] 경남도교육청, 올해 ‘공동 수학여행’ 성공적 마무리](/news/data/20251118/p1160278826050924_127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