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대책으로 실수요자의 1가구1주택 비과세 요건이 강화됨에 청약전략이 전면 수정이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3년 이상 보유하고, 2년 이상 실거주하면 양도세가 비과세된다. 하지만 내년부터 서울과 과천, 5대 신도시의 1가구 1주택 보유자는 3년 이상 보유하고 3년 이상 실거주해야 양도세가 비과세된다. 또한 서울과 과천, 5대 신도시뿐만 아니라 수도권 모든 지역과 지방에서도 3년 이상 보유하더라도 최소 2년 이상 거주해야만 1가구 1주택 양도세 비과세 요건을 받을 수 있다.
이 같은 거주 요건은 빠르면 올해 초 늦어도 내년 초 법 개정 이후 공포 때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즉, 2006년 1월에 서울 지역 아파트를 매입해 내년 1월에 양도를 할 경우(2년 거주 3년 보유 충족) 공포일 이전에 취득했기 때문에 종전 규정을 적용해 양도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
비과세 요건 강화는 ‘공포일 시행 이후 최초로 취득해 양도하는 분'부터 적용이 된다. 하지만 취득일은 분양 계약일이 아니라 잔금납입일 즉 등기신청일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사실상 내년부터 내집마련을 한다면 비과세 요건 강화를 피할 수 없게 됐다.
내집마련정보사 양지영 팀장은 “비과세 요건 강화를 피하고 싶은 내집마련 올해 입주 예정인 아파트를 노려볼 만 하다”면서 “상대적으로 새 아파트이기 때문에 일반 분양 물량이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새 아파트 희소성까지 기대할 수 있다”고 말한다.
내집마련정보사(www.yesapt.com)에 따르면 9월부터 올 연말까지 수도권에서 총 22곳에서 2만3684가구가 입주할 예정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서울에서 14곳 1만5902가구가 입주하고, 경기도에서는 7곳에서 6427가구, 인천에서는 단 한곳에서 1355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투자 유망한 입주 아파트
-강동구 암사동 롯데캐슬퍼스트 롯데캐슬퍼스트는 강동시영1차를 재건축한 아파트로 40개 동 3226가구의 대단지 아파트로 구성된다. 명일초, 강일중, 명일여중, 배재중, 배재고, 명일여고, 한영고 등 명문 학군이 밀집돼 있다.
올 10월에 입주할 예정이다. 시세는 87㎡의 경우 5억2000만~5억4000만원 수준.
-동대문구 답십리동 답십리래미안
전농3-2구역을 재개발한 답십리래미안은 10개 동 524가구로 구성되어 있다. 단지 앞으로 중랑천이 흐르고 뒤로는 배봉산이 위치하고 있어 배산임수형 입지를 자랑한다. 단, 5호선 답십리역을 버스로 이용해야하는 등 지하철역과의 거리가 멀다는 것이 단점이다. 입주는 올 연말이다. 시세는 108㎡가 4억5000만원 수준.
-마포구 성산동 월드컵 I'PARK1,2차성산동 월드컵 I'PARK 1,2차는 유원1,2차연립을 재건축한 아파트로 1차 390가구, 2차 70가구로 총 460가구로 구성된다. 월드컵경기장과 한강시민공원이 인접해 있어 주변 환경이 쾌적하다. 내년에 개통 예정인 지하철9호선 가좌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올 연말에 입주 예정이며, 시세는 105㎡의 경우 4억4000만~5억4000만원이다.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는 오는 12월에 입주 예정이다. 단지 규모는 44개 동 3410가구로 대
단지 아파트다. 단지 내에 원촌초, 원촌중학교가 있고, 서원초, 경원중, 반포고등학교 등이 인접해 통학이 가능하다. 현재 지하철7호선 반포역이 걸어서 3분 거리로 초역세권 아파트인데다가 지하철9호선 사평역이 걸어서 5분 거리다. 반포자이 116㎡의 현재 시세는 11억5000만~13억원까지 호가하고 있다.
-화성시 향남읍 신영지웰 등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에서 총 1천243가구의 입주 물량이 예정되어 있다. 신영지웰은 131~197㎡ 총 365가구로 구성되어 있고, 제일오투그란데는 147㎡와 183㎡ 총 400가구가 입주를 기다리고 있다. 또한 엘드건설의 한일유앤아이의 131~173㎡ 총 478가구의 입주 물량이 준비되어 있다. 세 곳 모두 등기 후 전매가 가능하다.
-인천 동구 송림동 풍림아이원
송림 풍림아이원은 송림2구역을 재개발한 아파트로 20개 동 1355가구로 구성된다. 21층으로 지어지고 서해조망이 가능하다. 인근에 송림시장, 중앙길병원, 인천의료원 등이 있다. 입주는 10월이다. 110㎡는 2억2000만원 수준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경남 합천군, 쌀 산업 위기 극복 팔걷어](/news/data/20251119/p1160278499965424_411_h2.jpg)
![[로컬거버넌스] 경남도교육청, 올해 ‘공동 수학여행’ 성공적 마무리](/news/data/20251118/p1160278826050924_127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