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권 장기침체 속 경매가 넉달째 하락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8-09-09 18:51:3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낙찰가율 43개월래 최저 강남권 아파트 매매시장과 경매시장이 동반 침체현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www.DrApt.com)가 올해 초부터 8월말까지 강남권 매매시장과 경매시장의 아파트값 변동률을 분석한 결과 매매가는 올해 3월부터, 경매 낙찰가율은 5월부터 줄곧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매 낙찰가율 분석은 경매정보업체 디지털태인(ww w.taein.co.kr)이 제공한 자료를 토대로 했다.

◆매매가 하락폭, 송파구가 가장 커

강남권 아파트 매매가는 올초 1월과 2월에 각각 0.05%, 0.18% 상승한 모습을 보였으나, 3월 -0.09%로 마이너스(-)를 기록한 이후 8월 -0.44%를 기록하기까지 6개월째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4월~6월 3개월간 -0.2%대의 하락세를 기록하다 7월 -0.63% 큰 폭으로 하락한 후 8월 -0.44%로 하락폭이 다소 둔화됐다.

강남3구 중에는 송파구의 하락폭이 컸다. 서울 입주물량중 최대 물량이 몰려있는 송파구의 경우 강남구(-1.28%)와 서초구(-1.10%)의 1월~8월 변동률보다 3배 이상 높은 변동률(-3.86%)을 보였다.

◆낙찰가율, 강남권 43개월만에 최저치

경매시장도 매매시장과 마찬가지로 침체국면이 지속되었다. 강남권 아파트 낙찰가율은 4월 86.67%로 정점을 이룬 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다 8월에는 77.67%로 전월(82.20%) 대비 4.53%포인트 급락했다. 지난 3월 79.14%를 기록한 이래 5개월만에 70%대로 재진입하였으며, 2005년 1월 75.32%를 기록한 이후 43개월만의 최저치에 해당한다.

매매가와 마찬가지로 낙찰가율 변동률 역시 송파구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평균 낙찰가율과 올해 8월까지의 평균 낙찰가율 편차는 강남구가 85.37%에서 83.37%로 2.0%포인트, 서초구는 83.0%에서 80.84%로 2.16%포인트 하락하였다. 반면 송파구는 지난해 평균 낙찰가율 87.47%에서 80.33%로 7.14%포인트 급락하였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