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아파트 평균 매매가 3.3㎡당 1700만원선 붕괴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9-01-22 19:04:5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66㎡대이하 오히려 가격 상승… 하락 여파 용인등에 미칠수도 분당 신도시의 3.3㎡당 평균 매매가격이 1700만원 아래로 떨어졌다. 이는 경기 침체로 인해 매수세가 심각하게 약해진데다 작년 12월부터 입주를 시작한 판교 신도시 때문에 기존 거주자들이 기존 아파트를 매물로 내놓으면서 갑작스럽게 매물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1월 14일 기준으로 분당신도시 3.3㎡당 평균가격은 1697만원을 기록하며 2006년 4월 처음 1700만원을 넘은 이후로 2년 9개월 만에 다시 붕괴됐다. 이는 또한 2007년 1월 3.3㎡당 최고 가격인 1935만원으로 정점을 찍은 후 238만원이 하락한 것이다.

분당구에서 3,3㎡당 최고가였던 2007년 1월을 기준으로 현재 평균값과 비교했을 때 가장 많이 하락한 면적대는 132~165㎡대 아파트로 2년 동안 418만원이 떨어졌다. 99~132㎡대가 294만원이, 165㎡대 이상인 아파트가 284만원이 하락했다. 66~99㎡대는 35만원 하락했으나 66㎡대 이하 초소형 아파트는 오히려 157만원이 상승했다.

다른 면적에 비해 초소형 면적 아파트만 상승한 이유는 평소 저평가돼 저렴한 가격을 유지하고 있었고 경기 침체와 함께 가격부담이 큰 대형 아파트보다는 저렴한 소형 아파트를 찾는 수요가 늘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2007년 1월 최고 상한가가 13억원 이었던 서현동 시범현대 155㎡(47평형)은 2009년 1월 현재 하한가가 6억8000만원까지 하락한 시세를 형성 중이다. 특히 중대형 아파트의 하락폭이 매우 큰 편으로 99㎡이하 소형 아파트의 경우 상대적으로 그 폭이 완만했다.

분당은 2007년 이후 정부가 버블세븐지역의 집값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내놓은 DTI·LTV규제 및 종합부동산세와 양도소득세의 세금 폭탄으로 인해 거래가 중단되며 하락세를 보였다. 이어서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해 국내 실물경제 마저 침체되자 매물 적체가 점점 심화되며 하락세가 가속화됐다.

최근 작년 12월부터 시작된 판교신도시의 입주는 분당의 가격하락폭을 더욱 크게 만들었다. 판교 입주를 위해 매물로 내놓았던 기존 아파트 매물이 거래가 전혀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야탑동에 위치한 J중개업소의 관계자는 “판교 입주 예정자들이 잔금을 치르기 위해서 기존에 내놓은 매물 가격을 더욱 낮추고 있는 실정이다. 이전까지 거래가 거의 안됐지만 최근 가격을 더 낮춘 급급매물은 매수자가 나타나 거래가 되고 있는 편.” 이라고 말했다.

분당은 1기 신도시뿐만 아니라 경기 남부지역의 시세를 선도하는 도시다. 이런 분당의 3.3㎡당 매매 평균값이 1700만원 아래로 떨어졌다는 것은 인접한 판교 및 광교 등의 2기 신도시 및 용인, 수원 등 인근 지역의 가격 동향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