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자금사정이 넉넉하지 못한 신혼부부들은 1억원 미만 전세 아파트를 구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뱅크가 서울 지역에 1990년도부터 입주한 아파트(재건축 제외) 가운데 공급면적 67㎡(20평형)이상되는 1억원 미만 역세권 전세아파트를 조사한 결과, 현재(2월 3주 기준) 35개 단지 7,652가구로 조사돼 지난해 같은 기간 51개 단지 8,878가구에 비해 -13.81%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급면적 82㎡(25평형)이상되는 1억원 미만 역세권 전세아파트는 지난해 21개 단지 1,279가구였으나 현재 10개 단지 937가구로 -26.74%나 감소했다. 또한, 100㎡(30평형) 이상의 1억원 미만 역세권 전세아파트는 지난해에 이어 현재도 2개 단지에 불과했지만 가격은 지난해보다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뱅크가 신혼부부들이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첫 보금자리 주택을 알아봤다. 노후·불량주택이 많은 20년 이상된 아파트는 제외했으며, 아이를 낳고도 공간 활용도가 높은 공급면적 67㎡(20평형)이상되는 1억원 미만 역세권 전세아파트를 소개한다.
1호선에 위치한 지역은 구로구·금천구·노원구·도봉구·중랑구 등으로 조사됐다. 종로와 시청 등 강북권 도심에 회사가 있다면 고려해볼 만 하다. 노원구 월계동에 성원 69㎡(21평형)가 8,500만∼9,500만원이며, 총 713가구의 대단지이다.
월계역이 도보로 10분 거리에 있으며, 녹천초·용원초·염광여중·인덕고·광운대 등이 인접해 있다. 또한, 을지병원과 이마트 등의 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2호선에 위치한 지역은 관악구·종로구 등으로 조사됐으며, 강남 등의 출퇴근을 원하는 수요자가 눈여겨 볼 만 하다.
관악구 봉천동에 관악캠퍼스타워 72㎡(22평형)가 7,500만∼9,600만원으로 거래가 형성돼 있으며, 서울대입구역이 도보로 3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원당초·문영여중·서울대 등이 가깝고, 롯데백화점 등의 편의시설도 즐길 수 있다.
종로구 숭인동에 모범 79㎡(24평형)가 7,000만∼8,500만원이며, 1호선과 2호선 환승역인 신설동역이 도보로 7분 거리에 있다. 숭신초·대광중·숭인여자중 등의 학교와 고려대병원 등 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3호선에 위치한 지역은 은평구 갈현동으로 건영 72㎡(22평형)가 8,000만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3호선과 6호선 환승역인 연신내역이 도보로 10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갈현초·선일초·선일여중 등의 교육환경이 좋으며, 각종 편의시설이 주변으로 위치해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경남도교육청, 올해 ‘공동 수학여행’ 성공적 마무리](/news/data/20251118/p1160278826050924_127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로컬거버넌스] 인천시 계양구, 노인복지도시 정책 속속 결실](/news/data/20251113/p1160278567286598_304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