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뱅크(www.neonet.co.kr )에 따르면 11월 3주 전국 아파트값은 -0.03%의 변동률을 나타냈다. 서울이 -0.05%로 3주 연속 하락했고, 버블세븐지역(-0.12%)은 지난주보다 낙폭을 0.02%p 확대했다. 신도시와 경기도는 각각 -0.04%, -0.05%씩 하락하는 양상을 띠었고, 인천은 -0.05% 뒷걸음질쳤다.
서울 권역별로는 강남권과 비강남권이 각각 -0.09%, -0.03%씩 하락했다. 유형별로는 강동구(-0.45%), 강남구(-0.42%), 송파구(-0.21%)를 비롯한 구로구(-0.28%) 일대 재건축 아파트값이 빠지면서 서울 재건축이 -0.27%가 밀려났다. 일반 아파트는 -0.01% 소폭 하락했고, 주상복합단지는 0.09% 오르는 모습을 보이며 대조를 이뤘다.
서울은 강남권을 중심으로 시작된 집값 하락세가 강북권, 도심권 등 서울 전역으로 확산됐다. 중랑구가 -0.26%로 가장 많이 떨어졌고, 강동구(-0.23%), 강남구(-0.14%), 송파구(-0.08%), 동대문구(-0.05%), 중구(-0.04%), 노원구(-0.01%), 도봉구(-0.01%) 등이 일제히 하락대열에 합류했다.
중랑구에서는 상봉동 일대 중형 아파트가 2000만 원 이상씩 가격이 하락 조정됐다. 우정 108㎡(33평형)가 4000만 원이 빠진 3억 7500만 원에, 건영1차 112㎡(34평형)가 2000만 원이 하락한 3억 6500만 원에 매매가를 형성했다.
강동구는 상일동과 둔촌동 일대 재건축 아파트값이 집값 하락을 이끌었다. 매수세가 끊긴 상황에서 호가를 낮춘 매물이 출현 중이다. 상일동 고덕주공7단지 59㎡(18평형)가 5억 9000만 원에서 5억 7000만 원으로, 둔촌동 둔촌주공3단지 112㎡(34평형)가 9억 1500만 원에서 8억 9750만 원으로 호가가 낮아졌다.
이밖에 강남구 개포동 주공3단지 36㎡(7억 1,500만→6억 8000만 원), 송파구 쌍용2차 108㎡(6억 2000만→5억 9500만 원), 동대문구 전농동 SK 108㎡(4억 1500만→4억 500만 원), 중계동 현대6차 148㎡(6억 6000만→6억 3500만 원) 등도 매매가가 빠졌다.
신도시는 중동(0.04%)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하락세를 나타냈다. 대부분 중대형 아파트가 하락한 가운데 일산이 -0.11%로 크게 떨어졌고, 평촌(-0.07%), 산본(-0.06%), 분당(-0.01%) 순으로 집계됐다. 일산에서는 마두동 백마삼성 158㎡(48평형)가 2500만 원이 하락한 7억 5000만 원에, 평촌에서는 평촌동 꿈한신 145㎡(44평형)가 2500만 원이 떨어진 7억 6500만 원에 가격이 새롭게 형성됐다.
경기도는 지난주 경기 남부에 이어 이번주 북부 일부 지역까지 하락세에 동참했다. 포천시가 -0.86%로 가장 많이 떨어졌고, 용인시(-0.39%), 양주시(-0.35%), 이천시(-0.26%), 의왕시(-0.16%), 광주시(-0.10%), 광주시(-0.10%), 고양시(-0.09%) 등의 순으로 약세를 나타냈다.
포천시는 소흘읍 송천마을 뜨란채 105㎡(32평형)와 한국개나리 79㎡(24평형)가 각각 1000만 원, 500만 원이 하락해 1억 8500만 원, 1억 9500만 원에 매매가를 형성했다. 매수문의가 없자 일부 집주인들이 호가를 낮춰 매물을 내놓는 추세다.
용인시는 동백지구 일대 아파트값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백현마을서해그랑블 108㎡(4억→3억 7000만 원), 호수마을월드메르디앙 108㎡(4억→3억 7000만 원), 상록롯데캐슬2단지 105㎡(4억 750만→3억 8000만 원) 등이 일제히 떨어졌다.
이밖에 양주시 덕정동 봉우마을주공5단지 82㎡(1억 5000만→1억 4000만 원), 이천시 대월면 현대전자사원 79㎡(9,000만→8500만 원), 의왕시 99㎡(2억→1억 9000만 원) 등의 거래부진이 이어졌다.
한편, 인천은 서구(-0.11%), 중구(-0.09%), 부평구(-0.09%), 남동구(-0.04%), 계양구(-0.03%) 등의 순으로 내리막길을 걸었다. 집주인들이 매물을 내놓지 않는 상황이지만 일부 급매물이 출현하면서 시세가 조정되고 있다. 서고 원당동 대림e-편한세상 85㎡(2억 2500만→2억 250만 원), 중구 신흥동 경남아너스빌 108㎡(2억 6500만→2억 5000만 원), 부평구 삼산동 삼산타운2단지 108㎡(3억 6000만→3억 4500만 원) 등이 맥을 못 췄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로컬거버넌스] 인천시 계양구, 노인복지도시 정책 속속 결실](/news/data/20251113/p1160278567286598_304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산시, 전국체육대회·장애인체육대회 폐막](/news/data/20251112/p1160278846346218_476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