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역세권 중 지하철 3호선 인근 아파트 값이 가장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닥터아파트가 서울 지하철 1~9호선 역에서 도보로 10분 거리인 역세권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3호선이 9억922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3구를 모두 지날 뿐 아니라 성동구와 종로구 등 비교적 입지가 좋은 지역도 지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3호선의 역세권 아파트는 총 13만316가구로 9개 노선 중 4번째에 그친 반면 시가총액은 129조2990억원으로 최고가를 기록했다. 역세권 아파트가 17만8351가구로 가장 많은 7호선 시가총액보다 48조5421억원이나 높은 금액이다.
9호선의 역세권 아파트값 평균은 7억9156만원으로 3호선에 이어 두번째로 비쌌다. 강서구, 동작구, 서초구, 양천구, 영등포구 등을 지나는 9호선은 서초구, 양천구, 영등포구의 아파트 값이 평균을 끌어 올렸다.
8호선은 노선이 짧은데도 불구하고 역세권 아파트 값이 7억697만원으로 3위에 올랐다. 강동구와 송파구를 지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1호선 역세권 아파트 값은 4억3033만원으로 9개 노선 중 가장 낮았다. 노원구, 금천구, 도봉구, 성북구 등 아파트 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을 다니는 탓이다.
7호선도 역세권 아파트 값이 4억5280만원으로 낮게 나타났다. 강남구와 서초구는 높았지만 가구수가 많은 노원구, 중랑구의 집값 때문에 전체적인 평균이 낮아졌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로컬거버넌스] 인천시 계양구, 노인복지도시 정책 속속 결실](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3/p1160278567286598_304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산시, 전국체육대회·장애인체육대회 폐막](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2/p1160278846346218_476_h2.jpg)
![[로컬거버넌스] 경기 부천시, 노인 스마트 복지인프라 확충 박차](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1/p1160278735531867_691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