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슈퍼 살아 남으려면 ‘S·U·P·E·R’ 하라

온라인뉴스팀 / / 기사승인 : 2012-05-14 18:10: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商議, 5개 생존 키워드 제시… 구매자 근접조건 활용 강조

동네슈퍼마켓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키워드로 ‘SUPER’가 제시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 중소형슈퍼마켓 881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형슈퍼마켓 경영 현황과 시사점’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동네슈퍼마켓의 생존 키워드를 ‘S.U.P.E.R’로 정의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근거리 입지 활용’(Short distance), ‘상점 간 연계’(Union), ‘상품·가격경쟁력 확보’(Price & Product competitiveness), ‘혁신을 위한 자구노력’(Effort), ‘소매지원체계 구축’(Retail support system) 등의 약자다.


조사 결과 응답점포들은 자신들이 가진 장점으로 ‘구매자와 근접한 입지조건’(68.8%)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주민들과의 친숙함’(27.5%), ‘유연한 점포경영’(2.4%) 등을 차례로 꼽았다. 반면 자신들의 약점으로는 ‘가격경쟁력’(54.5%), ‘상품경쟁력’(19.2%), ‘자금조달력’(15.0%) 등을 들었다.


상품의 공급처 수를 묻는 질문에는 ‘11~19곳’(39.7%), ‘4~10곳’(30.1%)이란 답변이 많았으며, ‘20곳 이상’이라는 응답도 17.6%를 차지했다.


대한상의는 “이같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품공급 체계가 결국 물류비용을 높여 가격경쟁력을 낮추는 요인이 된다”면서 “동네슈퍼들 간 연계와 조직화를 통해 공동구매가 이루어진다면 공급자에 대한 협상력이 커지는 것은 물론 가격인하 효과도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점주들에게 영세 점포들 간 조직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득에 대해 물은 결과, ‘점포이미지 개선’(48.8%), ‘가격경쟁력’(48.7%), ‘상품경쟁력’(46.0%) 제고에 각각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중소상인들의 혁신을 위한 자구노력도 생존을 위한 중요 요소로 꼽혔다.


‘지난 2년간 점포운영상의 변화를 시도한 적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점주 45.3%가 ‘시도한 적이 없다’고 답했으며, ‘시도 경험이 있다’는 54.7%의 점주들도 ‘나들가게로 전환’(55.4%), ‘점포시설 개선’(20.8%)을 주요 방법으로 꼽았다.


대한상의 김경종 유통물류진흥원장은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의 틈바구니에서 영세 소매상인들이 사업을 영위하기는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면서 “중소상인의 생존을 위해서는 자신들의 자구노력과 더불어 가격경쟁력과 상품경쟁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도매물류센터 설립 등과 같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온라인뉴스팀 온라인뉴스팀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