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장기침체로 1인당 구매단가도 감소세]
각종 악재가 4월 유통업체 매출을 끌어내렸다.
17일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4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동향’에 따르면 대형마트는 미국 광우병 발병과 수산물가격 상승, 의무휴업 등으로, 백화점은 전년대비 평균기온과 윤달로 인한 의류와 혼수용품 판매 부진으로 매출이 2.4%, 3.4% 각각 줄었다.
대형마트의 경우는 스포츠를 제외한 전 상품이 부진을 면치 못했다. 주 5일제 수업에 따른 여가시간과 레저활동인구 증가에 따라 스포츠용품 판매는 전월에 비해 4.1% 증가했다.
이에반해 가전문화는 스마트기기 확산에 따라 디지털가전제품 수요가 6.1% 줄었고, 식품은 미 광우병 발생에 따른 축산물 판매 감소와 수산물 가격 상승에 따라 3.3% 감소했다.
지경부는 지난달 실시된 대형마트 의무휴업도 매출에 일부 영향을 준 것으로 추진된다고 설명했다.
백화점의 경우는 아동스포츠와 식품의 매출은 소폭 증가한 반면 잡화, 여성정장, 여성캐주얼, 남성의류, 명품 등은 소폭 감소했다.
아동스포츠는 봄철 레저활동 증가로 아웃도어와 스포츠용품의 판매 호조가 매출로 이어졌다. 전월비 7.1% 증가했다. 하지만 여성정장(-8.1%), 남성의류(-9.4%), 가정용품(-7.5%), 여성캐주얼(-1.8%), 명품(-5.9%)은 마이너스 성장에 그쳤다.
명품은 전년동월에는 샤넬이 가격을 인상하면서 사전구매 증가로 판매가 늘었으만 올해에는 특별 이벤트가 없어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밖에 소비자 구매패턴에서는 전년 동월대비 구매건수에 있어 대형마트는 2.2%, 백화점은 1.4% 감소했고 1인당 구매단가는 대형마트 -0.1%, 백화점 -1.8%로 집계됐다.
또한 1인당 구매단가는 대형마트 4만4641원, 백화점은 7만7390원으로 조사됐다고 지경부는 전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