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값 2년새 11% 껑충… 1억미만 40% 증발

뉴시스 / / 기사승인 : 2013-03-18 16:26: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강동구 등 재건축 이주지역 26%~40% 급등
저가일수록 많이 올라… 1억 미만 15% 뛰어
최근 2년 사이 서울 아파트의 전셋값이 평균 11% 상승한 가운데 저가시장을 중심으로 전셋값이 더 많이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114(www.r114.com)가 서울 아파트의 최근 2년 전세가격을 분석한 결과, 2011년 서울 아파트값을 기준으로 ▲1억 원 미만의 전세 아파트가 2년 사이 전셋값이 15% 올라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동기간 ▲1억 원대 전세 아파트는 12% 올랐고 ▲2억 원 대의 전세 아파트는 11% 상승했다. ▲ 3억 원 대 전세 아파트는 10% ▲4억 원 대 전세 아파트는 11% ▲5억 원 이상 전세 아파트는 8% 올라 서울 세입자들이 저가시장을 중심으로 움직인 것으로 조사됐다.

재건축 이주 지역 1억 미만 전셋집 25% 이상 가격 상승

지역별로는 △강동 40% △서초38% △송파 26% 지역의 1억 원 미만 전세시장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재건축 이주 수요 등으로 저가전세 매물 부족이 더해져 상승폭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강북의 대표 주거지인 노도강(노원, 도봉, 강북)의 저가시장 강세도 두드러졌다. 2011년 3월 1억 원 미만인 전세 아파트가 2013년 현재는 13% 전셋값이 상승했고, 1억 원 대 전세는 10% 상승했다. 반면 3억 원 대의 전셋집은 3% 상승하는데 그쳤고 4억 원 대 전셋집은 2% 하락한 것으로 조사돼 대조를 이뤘다. 노도강 지역은 전셋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해 싼 전셋집을 찾는 세입자들로 저가시장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한편 강남권역(강남, 서초, 송파)은 저가시장뿐 아니라 고가 전세시장도 고른 상승을 보였다. 1억 원 대 전세 아파트가 16% 상승해 가장 많이 올랐고 2억 원 원대 전세 아파트는 14%, 4억 원 대 전세 아파트 13%, 3억 원 대 12%, 1억 원 미만은 10% 상승했다. 집을 사기에 여유가 있는 소득층도 주택 구입을 꺼리면서 전세수요 증가에 따른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전세 보증금에 상관 없이 고른 가격 상승을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2억 원 미만으로 선택 할 수 있는 전셋집 줄어

봄 이사철이 시작되면서 전세를 구하는 세입자들의 부담이 높아지고 있다. 2년 새 오른 전셋값이 부담인 가운데 재계약을 위해선 평균 2669만원을 보태야 하고 종전 전세 보증금으로 선택 할 수 있는 전세 아파트는 줄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2억 원 미만의 전세 보증금으로 전셋집을 구하기는 더욱 어려워졌다. 서울 아파트 중 1억 원 미만의 전셋집은 2013년 3만 7978호로 2011년과 비교해 2만5161호가 줄었다. 1억 원 대의 전셋집도 35만 5389호로 2년 사이 9만 4253호가 줄었다.
저가의 전세매물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출시된 전세매물은 융자나 집 상태에 따라 빠르게 계약이 진행되고 있다.

부동산114 김은선 선임연구원은 "이사를 계획하고 있는 세입자라면 미리 움직여 남보다 한 발 앞서 전세 물건을 선점하는 것이 최선"이라며 "전세물건이 나올만한 지역을 우선으로 공략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김 연구원은 이어 "상대적으로 매물 출시가 많은 대단지 아파트나 손바뀜이 활발한 입주 짝수년차를 맞는 아파트를 공략한다면 내 형편에 맞는 전셋집을 보다 쉽게 구할 수 있을 것"이러고 덧붙였다.
/뉴시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시스 뉴시스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