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부동산 중개업자들은 부동산시장 정상화를 위해서는 취득세와 양도세 등 세제 완화가 가장 시급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는 19∼22일 전국 회원 중개업소 743곳을 대상으로 '박근혜 정부가 가장 시급하게 추진해야 할 부동산 정책'을 조사한 결과 62.3%(463명)가 취득세·양도세 등 세제 추가 완화를 꼽았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설문의 총 응답자는 743명(수도권 432명, 지방 311명)다. 조사 기간은 19~22일이다.
취득세 감면 연장안이 뒤늦게 국회를 통과하기는 했지만 감면 기간이 3개월밖에 남지 않아 효과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고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세 폐지가 남아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추가 완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음은 DTI와 LTV 등 금융규제 완화 13.7%(102명), 재개발·재건축·리모델링 등 규제 완화 12.0%(89명), 보금자리주택 폐지 9.8%(73명), 분양가 상한제 폐지 2.2%(16명) 순이었다.
향후 집값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변수로는 정부 정책 추진 방향 및 실행 여부가 51.0%(379명)로 꼽혔다.
이어 내수 경기 침체, 베이비부머 은퇴 등 구매 수요 감소 21.7%(161명), 전셋값 상승, 월세 전환 등 임대시장 변화 17.4%(129명), 주택 신규 공급 규모 7.4%(55명), 미국, 유럽 등 대외 변수 2.6%(19명) 순이었다.
중개업자들은 집값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정부의 정책방향과 실행력이 될 것이며 대외 변수에 대한 영향은 극히 적을 것으로 내다봤다고 부동산써브는 전했다.
새정부 출범 첫해인 올해 집값에 대해서는 보합세를 보일 것라는 견해가 36.6%(272명)로 가장 많았다. 1~5% 상승 30.7%(228명), 5% 초과 상승 14.1%(105명), 1~5% 하락 13.1%(97명), 5% 초과 하락 5.5%(41명) 순이었다.
주택시장 회복 예상 시점을 묻는 질문에는 2014년 이후가 32.0%(238명)으로 가장 많아 단기간 내에는 회복이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이어 3분기 24.8%(184명), 2분기 20.5%(152명), 4분기 17.6%(131명)으로 1분기라는 답변은 5.1%(38명)에 불과했다.
/뉴시스
/뉴시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인천시 계양구, 노인복지도시 정책 속속 결실](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3/p1160278567286598_304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산시, 전국체육대회·장애인체육대회 폐막](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2/p1160278846346218_476_h2.jpg)
![[로컬거버넌스] 경기 부천시, 노인 스마트 복지인프라 확충 박차](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1/p1160278735531867_691_h2.jpg)
![[로컬거버넌스]물길 따라 단풍·억새·가을꽃 풍경 만끽··· 도심서 즐기는 감성 힐링 나들이](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09/p1160271721170098_501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