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시설 활용 생태연못·텃밭·피크닉장 등 조성
[시민일보]폐쇄됐던 경기 부천시 여월정수장이 5만2422㎡ 규모의 ‘부천여월농업공원’으로 재탄생한다.
시는 연중 제철식물 생산과정을 지켜볼 수 있는 도시농업공원인 부천여월농업공원을 오는 27일 개장한다고 밝혔다.
참고로 부천여월농업공원이 들어서는 곳은 옛 여월정수장 터로 여월정수장은 지난 1980년대부터 2001년도까지 20여 년 동안 부천시민에게 수돗물을 공급하던 곳이었다.
도시규모 확대에 따라 까치울정수장이 대체가동을 시작하자 여월정수장은 오랫동안 방치된 채 있었다. 부천여월농업공원 조성의 가장 큰 특징은 조성과정에서부터 주민의 의견 수렴을 기반으로 했다는 것이다.
우선 단계별 활용 기본방향을 잡고 개발제한구역인 만큼 법적으로 가능한 시설부터 갖추기로 한 것이다. 시민, 전문가 의견수렴, 국내·외 사례 벤치마킹의 과정을 반복해서 진행했다.
부천여월농업공원의 또 하나의 특징은 철거 위주의 물리적 개발정책에서 탈피해 정수장 필수시설이었던 침전지, 정수지, 여과지, 회수조 등의 기능을 살린 도시 재생 행정을 구체적으로 구현했다.
기존 녹지는 그대로 두고 정수시설을 적극 활용한 농사 체험장, 경관작물 파종원, 부들, 창포, 연꽃 등의 수생식물과 미꾸라지, 붕어 등이 공생하는 생태연못, 피크닉장 등을 갖췄다.
캠핑장도 갖췄다. 텃밭교실, 학교텃밭, 공동체 텃밭, 농사축제 등의 농사프로그램과 가족영화제, 가족 별자리 체험 등의 프로그램 등도 운영된다. 공원이 들어서는 옛 여월정수장 인근에는 부천 둘레길 제 5코스인 누리길과 이어진 산책로와 도당수목원이 있다.
봄이면 벚꽃, 진달래, 백 만 송이 장미를 즐길 수 있다. 특히 지하철 7호선 종합운동장역과 인근의 도시농업공원 부지로써는 최적이다. 주요 프로그램은 가족영화제, 가족 별자리 체험 외에 텃밭교실, 학교텃밭, 공동체 텃밭, 농사축제 등이 마련된다.
계절별, 월별로 식물이 자라는 과정을 지켜보고, 직접 재배해 보면서 매일 먹는 농산물이 어떤 경로를 통해 식단에 오르는지를 알 수 있다.
이와 관련 김만수 시장은 “10년 이상 방치된 공간이 이제 생산적인 공간으로 바뀌었다”면서 “유치원생, 초등학생의 미래와 함께 자라는 부천여월농업공원이 될 수 있도록 운영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부천=문찬식 기자mcs@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