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주택 중에서도 "악성"이라 불리는 준공 이후 미분양주택이 최고점인 2009년 대비 54%나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는 청약접수 이후 준공까지 2년~3년 정도의 기간이 걸리므로 준공 이후에도 미분양으로 남은 단지라면 주변 주택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금융위기 이후 정부의 미분양 매입과 세금감면 등의 각종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주택이 과거 대비 크게 감소했다. 분양시장이 점진적으로나마 개선되는 상황이다.
부동산114가 국토교통부의 준공 후 미분양주택의 통계를 확인한 결과 2009년 5월에 5만4141가구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후 감소세를 보이면서 2013년 9월 현재는 2만4667구로 5년 사이 1만9253가구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012년 하반기부터 수도권 물량이 지방 물량을 추월하는 등 지역 별로 준공 후 미분양물량에 대한 양극화 현상도 확인되고 있다.
수도권은 준공 후 미분양 증가세, 지방은 과거 대비 큰 폭 감소
2013년 9월 기준 준공 후 미분양주택은 △전국(2만4667가구) △수도권(1만4279가구) △지방(1만388가구)로 전체 물량의 약58%가 수도권에 위치한다. 과거 2009~2010년에는 준공 후 미분양주택의 90%이상이 지방이었던 점에 비춰보면 수도권이 최근 3년 동안 지방 대비 더 침체된 원인 중 하나로도 볼 수 있다.
수도권 내에서는 △경기(1만670가구) △인천(2801가구) △서울(808가구)순으로 준공 후 미분양물량이 많았고, 지방에서는 △강원(1763가구) △대구(1233가구) △충남(1152가구) △부산(1042가구) 순으로 물량이 많았다. 다만 수도권과 달리 지방 대부분 지역에서의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수 백 가구 미만으로 적었다.
면적 별로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을 살펴보면 전체 2만4667가구 중 △60㎡이하(2270가구) △60~85㎡(5937가구) △85㎡초과(1만6460가구)로 면적이 클수록 남아있는 물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준공 후 미분양이 많은 지역이면서 중대형 물량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수도권 악성미분양 많은 곳 "투자 신중"
준공 이후의 악성미분양이 많은 지역은 가격상승 시기에도 소외될 가능성이 높다. 시,군,구 별 준공 후 미분양을 살펴보면 서울에서는 △성북구(111가구) △동작구(103가구)의 물량이 많았고 경기도에서는 △용인시(2836가구) △고양시(1938가구) △파주시(1038가구) △수원시(1028가구) 순으로 물량이 많았다. 용인시와 고양시 등은 금융위기 이후 건설사의 밀어내기 분양에 따른 부작용이 아직 해소되지 못한 상황이다. 인천광역시는 △중구(1217가구) △서구(794)의 물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종지구, 청라지구 등 인천경제자유구역의 대규모 분양에 따른 후유증이 큰 것으로 보인다.
실제 준공 후 미분양이 많은 지역의 매매가격을 살펴본 결과 2012년 대비 모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준공 후 미분양이 1000가구 이상인 경기 용인, 고양, 파주, 수원시와 인천 중구의 2012년 대비 현재 시점 3.3㎡ 당 매매가격(단위 : 만 원)을 비교하면 △용인(950→927) △고양(903→902) △파주(713→710) △수원(900→895) △인천 중구(752→739)로 모두 하락했다. 18대 정부의 4.1, 8.28 등 각종 부동산대책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개선흐름이 나타나지 못한 것이다. 이처럼 준공 후 미분양주택이 지역 내 매매가격 상승의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만큼 투자에는 신중해야 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인천시 계양구, 노인복지도시 정책 속속 결실](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3/p1160278567286598_304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산시, 전국체육대회·장애인체육대회 폐막](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2/p1160278846346218_476_h2.jpg)
![[로컬거버넌스] 경기 부천시, 노인 스마트 복지인프라 확충 박차](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11/p1160278735531867_691_h2.jpg)
![[로컬거버넌스]물길 따라 단풍·억새·가을꽃 풍경 만끽··· 도심서 즐기는 감성 힐링 나들이](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09/p1160271721170098_501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