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15일 오후 5시 광역단체장 공천 신청 접수를 마감한 결과, 세종특별자치시를 포함한 16개 광역단체장에 58명이 지원해 3.6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고 밝혔다. 전북도지사에는 공천 신청자가 없었다.
지역별로 대구에 8명이 몰려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고, 이어 서울은 6명, 대전 5명, 경기·충북·충남·울산·제주 4명, 강원·부산·경북·경남 3명, 인천·세종·전남 2명, 광주 1명이 접수했다.
서울은 김황식 전 국무총리가 공천 신청을 하면서 사실상 정몽준 의원, 이혜훈 최고위원과 3파전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정미홍 전 KBS 아나운서와 강성현 전 대동콘크리트 기획실장, 컴퓨터 프로그래머인 이성복씨도 후보군에 이름을 올렸다.
경기도는 원유철, 정병국 의원, 김영선 전 의원이 일찌감치 등록을 마친 가운데 당 지도부로부터 강력한 출마 권유를 받았던 남경필 의원이 등록하면서 4파전으로 치러진다.
인천은 안상수 전 인천시장과 유정복 전 안정행정부 장관의 2파전으로 치러진다. 당초 출마 의사를 밝혔던 이학재 새누리당 의원은 유 전 장관 지지 의사를 밝히면서 불출마를 선언한 바 있다.
특히 '100% 여론조사 공천'으로 논란을 빚었던 제주도의 경우 불만을 제기해 왔던 우근민 현 제주도지사가 경선 불참을 선언한 가운데 원희룡 전 의원과 김방훈 전 제주시장, 양원찬 재외제주도민회 총연합회장의 3파전으로 치러진다. 우 지사는 탈당 후 무소속 출마를 결심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새누리당의 전통적인 텃밭인 대구에서는 조원진이 일찌감치 출사표를 내민 가운데 서상기 의원이 막판 출마를 결심했다. 아울러 권영진, 배영식, 주성영 전 국회의원을 비롯해 심현정 전 YMCA 전국연맹 정책간사, 이재만 전 대구광역시 동구청, 강성철 전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장도 이름을 올리면서 8대 1의 치열한 경선이 예상된다.
부산은 공천룰에 불만을 제기하면서 탈당을 시사했던 권철현 전 주일대사가 경선 참여를 결정하면서 새누리당 박민식, 서병수 의원과 3파전으로 치러진다. 울산은 김기현, 강길부 의원과 김두겸 전 울산광역시 남구청장, 윤두환 전 의원이 4대 1로 승부를 겨룬다.
세종특별자치시장 후보에는 유한식 현 세종특별자치시장과 최민호 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이 등록했다. 대전에는 박성효 의원과 이재선 전 의원, 노병찬 전 대전시 행정부시장, 육동일 대통령소속 지방자치발전위원회 위원, 정용기 전 대덕구청장이 경합을 벌인다.
충북도지사 후보군에는 서규용 전 농림수산식품부 장관과 윤진식 전 산업자원부 장관을 비롯해 안재헌 전 여성부 차관, 이기용 전 충청북도교육감이 이름을 올렸다. 충남은 이명수, 홍문표 의원과 정진석 전 국회 사무총장, 전용학 전 의원이 맞붙게 됐다.
강원도는 이광준 전 춘천시장과 정창수 전 국토해양부 1차관, 최흥집 전 강원랜드 사장이 3대 1로 경합을 벌인다. 경북에는 권오을 전 의원과 김관용 현 경북도지사, 박승호 전 포항시장이 3파전을 벌인다. 경남은 홍준표 경남도지사를 비롯해 김용균 전 의원과 박완수 전 창원시장이 등록을 마쳤다.
전남도지사는 배종덕 전 MBC PD와 이중효 가천대 겸임교수가 등록했고, 광주에는 이정재 새누리당 광주시당위원장이 후보군에 이름을 올렸다.
향후 새누리당은 신청자들에 대한 서면 심사를 거친 뒤 다음 달 지역별 경선을 통해 후보를 결정할 예정이다.
경선 일정은 ▲부산시장 4월22일 ▲대전시장 4월18일 ▲대구시장 4월19일 ▲울산시장 4월13일 ▲충남지사 4월21일 ▲강원·충북지사 4월20일 ▲세종특별시장 4월12일 ▲제주지사 4월10일로 각각 정해졌다.
박기성 기자 pks@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경남 합천군, 쌀 산업 위기 극복 팔걷어](/news/data/20251119/p1160278499965424_411_h2.jpg)
![[로컬거버넌스] 경남도교육청, 올해 ‘공동 수학여행’ 성공적 마무리](/news/data/20251118/p1160278826050924_127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