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특위 기관보고 합의 불발

박기성 / pks@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4-06-23 15:16:4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개시시점 공방··· 與 "26일부터" vs. 野 "30일 이후" 與 "여야 합의 자꾸 무산땐 특위 정상 운영 불가"
野 "유족반대 무릅쓰고 할 필요 없어··· 연기해야"

[시민일보=박기성 기자]국회 '세월호 침몰사고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가 23일 기관보고 개시시점을 놓고 공방을 이어갔다. 간사간 협의를 시도키로 했지만 이견이 커서 합의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새누리당은 여야 간사간 합의대로 오는 26일부터 기관보고를 시작하자는 입장인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등 야당은 유가족들의 요구에 따라 개시시점을 늦춰서 30일 또는 다음달부터 기관보고를 시작하자는 입장이다.

국조특위 위원인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특위 전체회의에 참석해 "지난 주말 여야 간사가 6월26일부터 7월7일까지 기관보고 받겠다는 합의하는 모습을 보고 다행이라 생각했는데 야당이 유가족 얘기를 들어서 파기한 것으로 들었다"며 "여야 간사 사이의 합의가 자꾸 무산되면 위원회의 정상적 운영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이완영 의원도 "정부에 몸담고 있으면서 중재를 많이 해봤지만 중차대한 세월호 특위에서 여야 의원 말씀 듣고 힘들고 짜증이 난다"며 "유가족 입장은 7월 1~2일 해수부와 해경 기관보고를 하면 된다는 것이다. 간사간 합의대로 26일부터 하고 7월 1~2일 해수부 해경 보고를 받으면 유가족 의견이 받아들여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여당 간사인 조원진 의원도 "기관은 수색 관련한 3개 외에 22개 있는데 나머지 기관의 보고는 왜 못하냐"며 "(간사간 합의대로)26일 기관보고를 시작하고 수색 관련 기관은 유가족이 원하는 7월 1~2일로 하길 바란다. 협의를 하자는데 합의해도 안 지키는데 무슨 소용이 있냐"고 따졌다.

반면 야당 의원들은 26일 기관보고를 개시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새정치연합 우원식 의원은 "국정조사가 최우선으로 고려할게 유가족들인데 유가족들이 (기관보고 일정에 반대하며)유골함까지 들고 국회에 찾아오겠다고 하고 있다"며 "세월호 희생자의 한을 풀어주고 새로운 한국을 만들자고 하는 국정조사인데 그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할 필요는 없다. (기관보고를)연기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같은 당 부좌현 의원도 "가족 의견은 (기관보고를)7월1일부터 하자는 것이다. 그것을 수용해 바꾸자는 게 무슨 잘못인지 이해할 수 없다"며 "26일 기관보고를 시작하자는 합의를 안 지키면 무슨 큰 일이 난다는 것이냐. 내가 초선이라 그런지 몰라도 이해가 안 된다"고 말했다.

정의당 정진후 의원도 "가족들이 많이 늦추자는 게 아니라 12명 실종자 문제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것이고 (기관보고를)6월30일 뒤로 해 달라는 것"이라며 "우리가 (유가족에게)약속한 것도 있는데 며칠 갖고 이렇게까지 지리한 논의를 해야 하는지 답답하다"고 밝혔다.

특위 야당 간사인 김현미 의원은 "야당 의원들이 요구한 자료의 20%도 와있지 않아 자료검증도 불가하고 현장에서 볼 것도 많다. 가족협의체도 가동될 필요가 있다"며 "이런 전제들이 이뤄진 후에 기관보고를 받는 게 맞다"고 견해를 밝혔다.

이처럼 공방을 벌인 국조특위는 여야 간사간 협의를 위해 오전 11시30분께 정회했다.

한편 새누리당 소속인 심재철 특위 위원장은 특위 산하 예비조사단 위원 위촉 건을 이날 중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