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당원혁명’은 절반의 성공

고하승 / / 기사승인 : 2014-12-04 16:12:3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하승


새정치민주연합 평당원들이 지난 달 20일 ‘당원권리 명문화’ 등을 요구하며 당원혁명의 깃발을 치켜들었다.

당원의 당연한 권리인 당직자 투표권을 인위적으로 제한하거나 축소해온 당 지도부의 행태에 평당원들이 반기를 든 것이다.

실제 새정치연합 평당원협의회는 당시 국회정론관에서 전국 시도협의회 대표단 및 집행부와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당헌에 “당권은 당원에게 있고, 모든 권한은 당원으로부터 나온다”를 명문화하라 ▲당대표, 최고위원, 시∙도당 위원장 및 지역위원장을 ‘전 당원 1인1표제’로 직접 현장투표로 선출하고 ‘당원소환제’를 즉시 도입하라 ▲국민 공감 없는 비대위원은 전원 사퇴하고, 참신하고 역량 있는 당내외 인사들로 구성하여 당원중심의 전당대회 플랜을 천명하라 ▲대안 없는 강경노선을 탈피하고 서민과 중산층을 위한 중도개혁 수권정당으로 재탄생하라는 등의 4개항을 제시했다.

이들의 요구사항의 핵심은 바로 오픈프라이머리제를 폐지하고, 당직자 선출권을 당원들에게 돌려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평당원들의 이런 요구사항은 당시만 해도 마치 계란으로 바위치기나 다를 바 없는 무모한 도전처럼 보였다. 임홍채 평당원협의회 대표가 당 지도부 면담 등을 통해 이같은 요구사항을 전달했지만 돌아온 반응은 싸늘했다. 그럼에도 평당원협의회는 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키워 나갔다. 결국 ‘절반의 승리’를 거두었다.

전당대회준비위원회 소속 최원식 의원이 4일 선거인단 구성에 대해 “전준위에서 다양한 견해가 논의하고 있다”면서 사견임을 전제로 "권리당원 50%, 대의원 30%, 일반국민 20%의 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힌 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물론 평당원협의회 입장에서는 일반국민 20%를 배제하고 당원비율을 50%에서 70%로 늘리는 것을 원하고 있을 것이다. 또 그렇게 만드는 것이 평당원들의 궁극적인 목표일 것이다. 하지만 이 정도의 수확을 거둔 것만 해도 어디인가.

사실 새정치민주연합은 과거 열린우리당 시절부터 통합민주당 시절에 이르기까지 ‘오픈프라이머리’라는 미명아래 당원의 당연한 권리인 당직자 선출권을 대폭축소하거나 제한해 버렸었다.

정당이 후보를 선출하는 경선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을 당원이나 대의원으로 국한하지 않고 누구에게나 개방해 버린 것이다. 당원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측에서 ‘개혁’이라는 가면을 쓰고 그런 방식을 추진했음은 두말할 나위 없다.

그로 인해 경선과정에서 온갖 문제가 불거졌고, 그것이 당내 갈등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결국 열린우리당 이후 야당은 지금의 여당과의 승부에서 번번이 참패하고 말았다. 실제 박근혜 대통령이 여당 대표시절에는 단 한 번도 야당이 선거에서 이겨본 적이 없다, 심지어 ‘최악의 대통령’이라는 평가를 받는 이명박 대통령 재임시절에도 야당은 각종 선거에서 번번이 무릎을 뚫어야 했다. 오픈프라이머리가 승리를 보장하기는커녕, 되레 뼈아픈 패배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오픈프라이머리는 역선택이 가능한 제도로, 약체 후보가 승리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임채홍 대표가 “우리 학교 회장선거에 다른 학교 학생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는 꼴”이라고 꼬집은 것은 이 때문이다. 비록 뒤늦게나마 이런 현실을 직시하고 새정치연합 전대준비위에서 권리당원 50%, 대의원 30%, 일반국민 20%의 안을 추진하고 있다니 여간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제 공은 새누리당으로 넘어갔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현재 당원들의 존재를 무시하고, 일반국민을 경선에 참여시키는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당의 주인은 당원’이라는 구호는 말 뿐이다.

이제 새누리당은 당 대표나 최고위원은 물론 시도당 위원장 및 당협위원장 등 당직자를 선출할 때, 당의 주인인 당원들이 직접현장에 나가서 투표하는 방식을 확정할 필요가 있다.

새정치연합이 당원과 대의원의 참여 비율을 대폭 늘리고 있는 마당에 새누리당이 주춤거릴 이유는 없다. 오히려 그보다 한발 앞서 오픈프라이머리의 전면폐지를 선언하고, 전당원투표제를 선언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판단이다.

그로 인해 당원들이 그동안 느꼈던 소외감과 배신감을 털어내고 당에 대한 애정을 다시 갖게 됐다면 이보다 더 좋은 일이 어디 있겠는가.

모쪼록 새정치연합 평당원들의 일으킨 ‘당원혁명’이 비록 절반의 성공에 그친 미완의 혁명이지만 그 여파가 새누리당에서는 ‘성공’이라는 결실로 나타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하승 고하승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