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박관천 ‘원맨쇼’에 장단 맞춘 꼴

고하승 / / 기사승인 : 2014-12-19 14:53:1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하승


정국을 강타했던 이른바 ‘정윤회 문건’은 물론 ‘박지만 미행보고서’도 모두 박관천 경정이 혼자 북 치고 장구 치며 만들어낸 ‘지라시’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결국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은 경정 계급의 경찰공무원이 허위 문건을 만들어 보고하고 전파하면서 불거진 ‘스캔들’로 마무리되고 있다.

실제 검찰은 ‘정윤회 문건’ 작성자인 박관천 경정에 대해 지난 18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우선 검찰은 청와대 내부 문건을 빼돌려 감춘 행위에 대통령기록물관리법 위반 및 공용서류은닉죄를 적용했다. 여기에 무고죄를 추가하는 한편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를 추가 적용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

한마디로 ‘정윤회 문건’이나 ‘미행보고서’의 내용이 모두 날조된 엉터리라는 것이다.

그러면 박 경정은 왜 이런 문서를 날조한 것일까?

박 경정은 자신이 한 일에 대해 ‘사명감’ ‘업무의 일환’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과연 그럴까?

정말 그의 말대로 사명감에 의해 작성된 문건이고 보고서라면, 그 내용은 어디까지나 ‘진실’을 담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검찰 관계자들은 “보고서 내용을 확인하면서 수사팀도 황당했다”고 입을 모으고 있는 실정이다.

하나의 사례를 들어 보자.

박 경정이 박지만 EG 회장에게 전달한 ‘미행 보고서’ 속에는 3명의 인물이 등장한다.

박 경정은 보고서에서 경기도 남양주의 유명카페 사장 아들 A씨를 ‘미행자’, 전직 경찰관 B씨와 카페 사장을 ‘미행설 유통자’로 지목했다.

그래서 검찰이 이들 3명을 불러 진술을 받았다. 그런데 가관이다.

우선 ‘미행자’로 지목된 A씨는 당시 미행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그보다 더 황당한 것은 보고서의 내용과 작성과정이다. 박 경정은 허위 보고서를 만들기 위해 자신이 남양주경찰서 형사과장으로 있을 때 팀장이었던 B씨에게 한 차례 전화를 걸어 “A씨가 오토바이를 타는지 알아봐 달라”고 부탁했고, B씨는 “요즘은 타지 않는다”고 알려 주었다.

그런데도 박 경정은 보고서에 A씨를 ‘오토바이 탄 미행자’로 적었다. 뿐만 아니라 정보가 정확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경찰관에게 정보를 입수했으며 그의 소개로 미행자를 직접 면담했다’는 내용까지 집어넣었다.

검찰은 박 경정이 작성해 청와대에 제출한 ‘문건 유출경위서’도 날조된 것으로 결론지었다.

박 경정은 세계일보가 지난 4월 청와대 문건 일부를 보도한 이후 자신이 유출자로 의심받자 ‘민정수석실 파견 경찰관이 문건을 몰래 복사해 대검 수사관 등을 거쳐 세계일보 조모 기자에게 전달됐다’는 내용의 문건유출 경위서를 만들었다. 심지어 박 경정은 5명을 유출 가담자로 거론하며 그들에 대한 처벌을 요청하기도 했다.

자신이 최초 유출자라는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가공의 유출 경로를 만들어 무고한 5명의 처벌을 요청했다는 뜻이다.

대체 박 경정은 왜 이런 무모한 일을 벌인 것일까?

아직 구체적으로 그 이유가 밝혀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본인 뜻대로 인사가 진행되지 않을 것으로 보이자 ‘행동’에 들어간 것 아니겠느냐는 의구심을 지우기 어렵다.

우선 박 경정은 지난해 4월 청와대로 파견됐다가 10개월 만인 지난 2월 경찰로 좌천성 발령이 났다. 조응천 전 비서관이 박 경정의 복귀를 막아보려 했으나 뜻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심지어 서울지방경찰청 정보1분실장 자리로 보내 외곽지원을 받으려던 계획마저도 무산됐다. 정윤회 문건은 바로 이런 인사발령 직전에, 그리고 ‘미행보고서’는 직후에 작성됐다는 점에서 이런 의심이 드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야당이 ‘비선실세 국정농단’을 운운하는 것은 박관천 경정의 ‘원맨쇼’에 장단을 맞춘 것이나 다를 바 없게 됐다. 따라서 거기에 놀아난 새정치민주연합은 국민 앞에 사과를 해야 한다.

그럼에도 박근혜 대통령은 이와 관련, 국민 과반이상이 김기춘 비서실장과 이른바 문고리 3인방의 사퇴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결과가 나온 점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실제 리서치뷰의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2.2%는 김기춘 비서실장과 이재만 총무비서관, 정호성 제1부속실장, 안봉근 제2부속실장 등 문고리 3인방이 사퇴하는데 찬성했다. 반면 반대견해는 16.8%에 그쳤다. 무응답과 기타 의견은 21%였다.

이 조사는 지난 17일 전국 성인남녀 휴대전화가입자 1000명을 대상으로 임의전화걸기(RDD)로 진행했됐으며,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 ±3.1%p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하승 고하승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