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고(故)노무현 전 대통령의 집권 4년차인 2006년 당시 국정수행 지지율은 14.4%라는 충격적인 여론조사가 있었다. 그때 ‘대통령이 국정수행을 잘하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무려 77.2%에 달했다.
당시 CBS 라디오 ‘시사자키 오늘과 내일’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와 공동으로 실시한 주간 조사결과다. 이는 국민을 상대로 더 이상 통치행위를 하기 어려운 지지율로 사실상 정치적으로 ‘사망선고’를 받은 것이나 다를 바 없다.
그 결과 당시 집권당인 열린우리당은 각종 선거에서 번번이 참패를 당했다.
우선 당장 그해 실시된 5.31 전국 동시지방선거에서 집권당이 “싹쓸이만은 막아 달라”며 대국민호소에 나섰으나, 결국 열린우리당 참패, 한나라당 압승으로 끝나고 말았다.
실제로 열린우리당은 16개 시도지사 중 전북 단 한 곳만 이기는 데 그쳐 집권여당 선거 사상 최악의 참패를 당했다. 우리당은 대전에서만 5% 포인트 안팎으로 추격했을 뿐 전통적 접전지였던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서조차 한나라당에 30% 포인트 이상 뒤지는 등 15개 시도에서 유례없는 표차로 대패한 것이다.
그러면 이명박 전 대통령의 집권 4년차인 2001년 당시 지지율은 어땠을까?
당시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따르면 11월 첫째주 주간 정례조사 결과 이 대통령 지지율은 27.6%에 불과했다. 반면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적 평가는 60.0%에 달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 보다는 조금 나은 편이었지만 대통령의 국정지지도가 20%대라는 것은 사실상 ‘사망선고’를 받은 셈이라는 점에서 별반 차이가 없다.
그로 인해 2012년 6.2 지방선거에서 집권당이었던 한나라당이 완패했음은 두말할 나위조차 없다.
실제로 당시 여당의 무난한 승리가 예상됐지만 선거 결과 16곳 광역단체장 선거 중 한나라당은 서울·경기 외에 영남의 대구·부산·울산·경북 등 6곳에서만 겨우 승리한 반면, 야당은 민주당 7곳 등 10개 지역에서 당선자를 냈다. 친노무현계인 김두관(무소속) 경남도지사, 안희정 충남도지사, 이광재 강원도지사가 나란히 당선됐고 인천·광주·대전은 자유선진당 후보가. 전남·전북·충북·제주는 무소속 후보가 승리했던 것이다.
이처럼 대통령의 지지율이 20%대 이하로 추락하면, 그가 속한 정당은 각종 선거에서 참패할 수밖에 없다.
그러면 지금은 어떤가?
집권 2년 반을 넘어서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은 무려 50%대에 육박할 만큼 높다.
실제로 한국갤럽이 지난 25~27일 사흘간 전국 성인 1004명을 대상으로 박 대통령의 직무수행도를 조사한 결과 긍정평가가 전주보다 15포인트나 급등한 49%로 나타난 반면 부정평가는 12포인트 급감한 44%를 기록했다.
또 ‘모노리서치’의 8월 정례조사 결과 역시 박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48.1%(대체로 잘함 23.4%+매우 잘함 24.7%)를 기록한 반면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부정평가 비율은 45.8%(매우 못함 25.8%+대체로 못함 20.0%)로 나타났다.
두개의 여론조사 결과 모두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보다 높게 나타난 것이다.
이 같은 박 대통령의 지지도 상승은 정당 지지율에도 영향을 미쳤다. 한국갤럽 조사에서 새누리당 지지도는 3%포인트 상승해 3개월 만에 올해 최고치인 44%를 기록한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3%포인트 하락해 21%에 그쳤다. 정의당 4%, 없음/의견유보 30%다.
모노리서치의 정당 지지율 조사에서는 새누리당 46.0%, 새정치연합 14.6%, 정의당 3.9% 등으로 집계됐다. 기타 정당은 4.8%, 무당층은 30.7%였다.
눈 여겨 볼 대목은 제1야당인 새정치연합의 지지율이다. 집권당인 새누리당 지지율의 반토막 수준에도 못 미칠 만큼 초라하기 그지없다. 제1야당의 지지율이 10%대 혹은 20%대라는 것 은 노무현-이명박 전 대통령의 집권4년차 때의 지지율과 흡사하다. 당시 국민들이 사실상 그 정권에 ‘사망선고’를 내렸던 것처럼 지금 국민은 제1야당에 대해 사망선고를 내리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아마도 새정치연합 소속 안철수 의원이 지난 29일 오후 7시 대전 위캔센에서 열린 박영선 의원의 북콘서트에 참석해 “내년 총선에서 이대로 가면 (승리가) 힘들다”고 말한 것은 이 때문일 것이다.
그러면 제1야당은 어찌해야 하는가. 환골탈퇴 해야만 한다. 문제는 새정치연합 지도부가 그런 사실을 알고 있는지, 설사 알고 있더라도 추진할 의사가 있는지, 그게 문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