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차가버섯은 시베리아와 북아메리카, 북유럽 등 북위 45도 이상 지방의 자작나무에 기생하는 버섯이다. 바이러스에 의해 착생해 수액을 먹고 자라는데 대개 15~20년 동안 성장한다. 오리나무와 버드나무, 단풍나무 등에서도 발견되지만 이들은 효능이 없다.
또 러시아뿐만 아니라 중국, 몽골, 우리나라 강원도 산간에서도 발견되지만 기후적인 요건상 그 효능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렇다면, 왜 러시아 자작나무 차가버섯을 최고로 평가하는 것 일까.
15년째 차가버섯을 연구·개발하고 있는 ㈜고려인삼공사에 따르면 “시베리아 혹한을 견디며 자작나무가 가진 영양 수액을 수년간 먹고 자라면서 영양분을 더욱 단단하게 응축하기 때문에 러시아 자작나무 차가버섯을 영양학적으로 높게 평가한다“고 말한다.
차가버섯은 다른 약용버섯과 마찬가지로 다당류, 폴리페놀, 리그닌, 섬유소, 미네랄 등을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기능성분인 베타글루칸 등이 함유돼 있으며,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다당체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주로 환우들에게 인기가 높다고 고려인삼공사 측은 전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