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손학규-정운찬 끌어안기 작업 중?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6-08-10 15:48:4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호남 3당시대’로 위기감 고조...대안마련 고심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누리당이 호남 출신 이정현 의원을 당 대표로 선출하면서 '호남 3당 시대’가 본격화되는 조짐이다.

이에 따라 호남을 안방으로 하는 국민의당으로선 안에선 더불어민주당, 밖에선 새누리당에 압박받는 형국이 됐다.

이 같은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국민의당은 손학규 전 민주통합당 대표와 정운찬 전 국무총리 등을 영입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나설 전망이다.

국민의당 핵심 관계자는 10일 “국민의당 38석 중 비례대표, 수도권 2석을 제외한 나머지가 모두 호남 의석"이라며 "국민의당으로선 호남 사수에 당 사활을 걸 수 밖에 없게 됐다. 대선도 한층 어려워진 느낌”이라고 토로했다.

실제 더민주가 8,17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가 호남 인사로 구성되면 국민의당은 입지가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김상곤 후보는 광주 출신이고, 대구 출신 추미애 후보 역시 남편 고향에 따라 ‘호남 며느리’임을 강조하고 있다.

문재인 전 대표는 휴가 복귀 이후 첫 공식 일정으로 목포를 찾았고, 더민주 지도부는 최근 광주를 찾아 “제1호 당론 법안을 5ㆍ18 특별법 개정안으로 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새누리당은 이미 지난 20대 총선에서 이정현ㆍ정운천 의원을 각각 전남, 전북에서 배출하면서 호남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정현 대표도 전날 수락연설에서 “소외지역 출신이 집권여당의 대표가 될 수 있는 대한민국은 기회의 땅”이라며 호남진출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다.

이에 맞서 국민의당은 손학규 전 대표, 정운찬 전 국무총리 등 거물급 당외 주자 끌어안기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다.

당은 이를 위해 대통령 선거 출마자는 선출직 당직에서 1년 전 사퇴해야 하는 당헌 ·당규에 대해 수정 움직임을 보이는 등 영입작업이 구체화 되는 모양새다. 당헌 ·당규가 개정될 경우, 올 12월~내년 1월경으로 예상되는 전대에서 선출되는 새 당 대표도 대권도전이 가능하게 된다.

실제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당헌 ·당규 개정을 시사하며 손 전 고문에 대한 '러브콜'에 적극적이다. 박 위원장은 전북 방문 중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15일(광복절) 넘어 (손 전 고문과) 만나기로 약속 했다"며 "일련의 벽을 허물기 위해 당헌 ·당규 제 ·개정위원회에 (대선후보의) 1년 전 (선출직 당직) 사퇴 규정을 6개월 전으로 개정하자고 제안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당 외부 인사인 손 전 고문과 정 전 총리 등이 당대표를 맡더라도 대선 경선 참여에 차질이 없도록 사전정지 작업을 밟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위원장도 "손 전 대표, 정 전 총리 등이 홀가분한 마음으로 우리를 선택할 수 있는 문을 열어 두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손 전 대표 등 당외주자들이 국민의당 행을 선택할지는 미지수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