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임안 흥정’ 발언으로 궁지 몰린 정세균의 선택은?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6-09-29 09:00: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차수변경-녹취록 유감표명 가능성...사죄 수준 발언 가능성도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해임건의안으로 촉발된 여야 대치 정국이 정세균 국회의장의 책임론으로 옮아가는 모양새다.

특히 새누리당이 정세균 국회의장의 사퇴를 요구하며 이정현 대표가 무기한 단식 투쟁에 돌입하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서 정 의장의 선택에 관심이 모아진다.

정세균 의장은 전날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을 불러 “국감을 2, 3일 연기하자”고 제안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당분간 냉각기를 갖고 대치 정국 해소 방법을 찾으려는 정 의장의 출구전략이 더민주에 의해 거부당한 것이다.

앞서 새누리당은 지난 24일 새벽 해임건의안 표결 당시 정 의장의 발언록을 공개하며 사퇴를 촉구했다.

새누리당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는 “24일 0시 35분 정 의장이 ‘세월호(특별조사위원회 기간 연장이)나 어버이연합 (청문회) 둘 중에 하나를 내놓으라 했는데 안 내놔… 그래서 그냥 맨입으로… 안 되는 거지’라고 했다”고 밝혔다.

더민주의 김 장관 해임건의안을 세월호 연장이나 어버이연합 청문회에 연계해 협상하려는 시도에 정 의장이 개입했다는 것이다.

새누리당은 “정치적 중립성을 갖고 국회를 운영해야 하는 의장이 책임을 저버렸다”며 정 의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이에 대해 정 의장 측은 “여야 협의를 위해 노력했던 과정에도 불구하고 협상과 타협 없이 해임건의안이 표결로 처리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된 데 대해 안타까움을 표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더민주 우상호 원내대표도 “정 의장은 오히려 해임건의안 제출을 만류했고, 여야가 하나씩 주고받아 극한 정국을 만들지 말라고 했다”며 “(발언록은) 정 의장이 조정자 역할을 했다는 증거”라고 거들고 나섰다.

하지만 새누리당 초선 의원 46명은 이날 1인당 100만 원씩 갹출해 야당의 김 장관 해임건의안 강행 처리와 정 의장을 규탄하는 신문광고를 게재하기로 하는 등 물러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심지어 새누리당은 국정감사 보이콧에 이어 정 의장에 대한 형사고발까지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정 의장은 의장직 사퇴요구를 일축했다.

실제 정 의장은 전날 오후 서울 중구의 한 호텔에서 열린 행사 참석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정현 대표의 사퇴 요구 단식 투쟁과 관련, "(사퇴할) 그럴 일은 없을 것 같다"고 잘라 말했다.

하지만 정 의장도 마냥 이대로 버티기만 할 수는 없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에 따라 새누리당 의원 대다수가 수용할 만한 수준의 의사 표시가 조만간 있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한다.

정 의장이 교섭단체 대표인 정진석 원내대표와의 명확한 합의 없이 차수를 변경한 점, 녹취록 논란이 불거진 점 등에 비춰 유감표명을 하고 새누리당이 이를 수용하는 선에서 유야무야될 것이란 분석이다.

반면 새누리당이 '정세균 사퇴 관철 비대위'까지 꾸리고 매일 두차례 의원총회를 개최키로 하는 등 정 의장 사퇴에 '올인'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 의장이 유감 표명 정도만으로는 사태를 넘기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정의장이 보다 강도 높은 출구전략으로 국면 타개에 성공할 수 있을 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