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그맨 전유성 초청 특강… 멘토링 시스템 통한 인적자원 연계도
![]() |
▲ 지난해 열린 사회적 경제 아카데미에서 강사가 참여자들에게 강의하고 있다. |
올해 7년차를 맞는 사회적경제 아카데미는 그간 사회적경제 기업을 창업하고자 하는 자 또는 이에 관심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해 왔다. 이를 통해 다수의 사회적경제 인재를 배출함으로써 지역d내 사회적경제 인프라 구축에 기여해왔다.
구는 사회적경제 아카데미에 참여할 수강생을 모집 중이며, 교육대상은 사회적경제에 관심있는 주민, 사회적경제 기업 예비창업자,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주민 등이다.
교육 참여를 희망하는 주민은 구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신청하면 된다.
이번 아카데미는 매주 목요일 오후 6시30분~9시30분 구청 평생학습관 및 다목적실, 대강당, 기업 현장 등에서 진행되며, 수강료는 무료다.
이번 사회적경제 아카데미 교육은 ▲사회적경제 가치 이해 ▲사회적경제기업 사업모델 설계 ▲사회적경제기업 창업의 사례 등을 주제로 운영된다.
이에 <시민일보>는 구가 주민들의 사회적경제 역량 강화를 위해 운영하는 사회적경제 아카데미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다.
■ 발표·토론 방식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참여형 교육
교육은 강의와 실습, 워크숍을 통한 발표·토론 방식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참여형 교육으로 진행된다. 또 멘토링 시스템을 통한 인적자원 연계, 워크숍 등 현장방문, 현장 활동가들과의 간담회 등이 운영된다.
이번 교육의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사회적경제 관련 법과 제도 및 정부의 지원정책들, 선배 사회적기업과의 대화,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사업 모델 만들기, 사회적경제 기업 현장 견학 등 다양하게 구성했다.
아카데미 일정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7일에는 입학식 및 오리엔테이션이 진행되고, 24일에는 제도 및 사례연구가 진행된다. 김성기 강사가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사회적경제 관련 법과 제도, 정부의 지원정책, 사회적기업의 비즈니스와 사례에 대해 강의한다.
또한 창업계획서 개발 계획 세우기에 대한 내용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사업모델 만들기 1'이 진행된다.
오는 12월1일에는 선배 사회적기업과의 토크콘서트가 진행되며,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사업모델 만들기2'를 강의한다. 교육 내용은 사명(미션)과 목표(비전) 세우기 등이다.
이어 12월8일에는 명사를 초청해 수강생 뿐 아니라 대중들이 사회적경제에 보다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특강을 마련했다. 강사는 유명 개그맨이자 사회적기업 청도코미디 대표인 전유성 씨가 ‘발상의 전환 고정관념을 깨자’는 주제로 강의할 예정이다. 강의는 오후 6시30분 구청 대강당에서 열리며, 당일 특강은 누구나 와서 들을 수 있다.
아울러 12월9일(예정ㆍ추후 협의)에는 현장탐방으로 사회적경제기업 현장 견학을 실시할 예정이며, 12월15일에는 김성기 강사가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에 대한 조직 특성 이해에 대해 강의한다. 또한 팀코칭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사업모델 만들기3'가 진행된다. 강의는 법인격의 선택(주식회사ㆍ협동조합ㆍ비영리법인 등) 등에 대한 내용이다.
12월22일에는 신대우 강사가 비즈니스 스쿨을 진행하며, 창의적 사업기획 방법론에 대해 강연하며,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사업모델 만들기 4'로 사업(창업)계획서 완성하기를 진행한다.
■ 사회적기업 창업 경진대회 개최
구는 12월29일 사회적경제 아카데미 수료식을 진행한다. 특히 교육 수료자를 대상으로 사회적기업 창업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과 연계하고 실질적인 창업 기회를 부여하는 등 사회적경제기업 창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수료생 및 관계자간 네트워킹을 통해 인적 인프라를 보다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사회적경제 아카데미에 대한 자세한 교육과정은 구 홈페이지 '금천소식' 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교육 참여를 희망하는 주민은 금천구청 홈페이지에 있는 신청서를 내려받아 메일 또는 방문 신청하면 된다.
구 관계자는 "이번 교육을 통해 지역 내 사회적경제를 이끌 기업 및 인재를 육성할 예정"이라며 "사회적경제에 관심있는 주민과 사회적경제 기업 예비창업자 등의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구 마을자치과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