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고위 당정협의회, 주1회 정례화 깨지나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08-11 10:30:4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한동훈 대표 출범 이후 3주 연속 안 열어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매주 1회로 정례화됐던 고위당정협의회가 11일 세번째 순연을 결정하면서 정례화체제가 깨진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늘 개최가 검토되었던 고위당정협의회는 또 연기됐다”며 “향후 주요 현안을 누적해 추후 개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 2023년 10월18일 윤석열 대통령과 당 4역 간 상견례를 겸한 오찬 자리 이후 매주 일요일 국무총리와 국민의힘 지도부, 대통령 비서실장 등이 참석하는 회의가 열렸다.


특히 해외직구 금지 혼선이 발생했던 5월22일부터는 주 1회 고위정책협의회도 정례화됐다.


'고위당정협의회-고위정책협의회-실무협의회’ 3단계 협의 채널을 가동해 정책에 대한 사전 조율을 강화하는 한편 개별 현안에 대한 당정대 협력을 강화하자는 취지에서다.


하지만 지난 7월24일 한동훈 대표 체제 출범 이후 벌써 3주째 정례회의가 열리지 않고 있다.


실제 회의가 예정됐던 지난 28일에는 야당의 ‘방송4법’을 저지하기 위한 여당의 필리버스터로 인해 순연됐다. 또 지난주에는 여당의 정책위의장 거취 논란이 불거지자 불발됐다.


다만 지난 6일 촌각을 다투던 ‘티몬ㆍ위메프 사태’ 추가 대책과 제도 개선 논의를 위해 당정협의회가 열렸을 뿐이다.


이에 따라 주 1회로 정레화됐던 고위당정협의회가 비정례 체제로 바뀌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여당에서는 티메프 사태로 지난 주 회의를 했으니 주 1회 정례화 방침에는 변화가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과거처럼 특정 이슈가 발생했을 때 긴급하게 소집하는 방식은 윤 대통령이 지난 2023년 고위당정회의를 정례화하자고 제안했던 취지와는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특히 블랙먼데이로 불렸던 지난 5일 증시가 급락한 이후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에서 “당정이 만나 민생정책 현안을 한 번 더 짚고 단일대오의 모습을 보였어야 했다”라는 비판도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