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국민의힘이 23일 네이버의 '뉴스타파 특혜 의혹'을 제기하며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 조사를 요구했다.
국민의힘 이상휘 미디어특위 위원장은 이날 성명을 내고 "엊그제 김만배, 신학림이 구속됐다. 선거 공작 가짜뉴스를 최초 게재한 언론사와 이를 받아 쓴 언론사 기사들이 자사 뉴스 플랫폼을 통해 유통 중인 사실을 알고도 버젓이 방치, 계속해서 노출 중인 네이버의 의중과 입장은 무엇인가 궁금하다"라며 "뉴스타파에 대한 특혜가 있었다면 공정거래법 위반 등 중대범죄 소지가 있다. 공정위 조사가 필요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가짜뉴스 유통을 알고도 방치하는 것은 '대선공작 국기문란' 중대범죄의 공범이라는 유력한 증거로 평가될 수 있다"라며 "네이버는 뉴스혁신포럼을 통해 뉴스제휴평가위원회(제평위) 부활을 꿈꾸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뉴스타파 관련 의혹에는 묵묵부답이고, 그동안 제기됐던 매체 편향 문제는 오히려 심화될 전망"이라며 네이버를 향해 "공개적으로 답할 때때다. 제평위 관련 공개 간담회를 요청한다"고 했다.
박대출 공정언론특위 위원장도 같은 날 성명을 내고 "한목소리로 민주당이 날치기 통과시킨 '방송장악 4법'을 지원사격했다"며 "이에 대해 언론계내에서 후안무치라는 비판의 소리가 높다"고 지적했다.
특히 박 위원장은 지난 20일 더불어민주당 이훈기 의원이 개최한 토론회에 참석한 민주당 최민희 의원,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 민주노총 언론노조 KBSㆍMBC 지부 위원장들을 지목해 '문재인 정권 방송장악의 공동 정범'이라며 날을 세웠다.
그는 "민주당의 방송장악 4법을 지지하는 세력들은 2017년 문재인 정권의 방송장악을 주도했던 세력들과 판박이"라며 "이들이 한자리에 모였다는 것은 방송장악 4법이 결국 문재인 정권 '방송장악 문건'의 시즌2에 불과함을 웅변할 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민주당과 민노총 언론노조 그리고 그 자매단체들이 2017년 벌인 '고대영ㆍ김장겸 퇴진 촉구 서명운동'이라는 광란의 파시스트 행태를 똑똑히 기억한다"라며 "특히 472명의 학자들이 참여한 '공영방송 정상화를 위한 언론ㆍ방송학자 선언'은 팩트도 없고, 논리도 없어서 문재인 정권에 협력하지 않았다는 것 이외에 고대영ㆍ김장겸 사장이 어떤 잘못을 저질렀는지 지금 읽어도 도통 알 수가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공영방송 경영진을 여야 추천으로 선임하는 데는 국민의 선택이라는 명분이나 있지, 이들 파시스트 세력은 무슨 권리가 있다고 국민의 재산인 공영방송을 탐내는지 알 수가 없다"고 질책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