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2000명 성역으로 남기며 대화하자면 진정성 없어”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총선을 앞두고 의대 증원을 둘러싼 ‘의정 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여당내에서는 정부의 유연한 태도로의 전환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4.10 총선에서 서울 용산 후보로 나선 국민의힘 권영세 의원은 29일 오전 C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최초 우리 지지율이 올라가다 떨어진 건 이종섭 호주대사 문제, 황상무 수석의 부적절한 발언이 원인이었다면 지금은 의정 갈등이 주요한 부담으로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면서 “대통령께서도 유연하게 나가라고 얘기를 하셨는데 그 부분이 맞다”며 “2000명 도달하는 걸 미룰 수도 있고 점진적으로 할 수도 있는 유연성을 보이는 게 필요하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그는 “궁극적으로 (증원 규모)2000명을 가더라도 2000명에 도달하는 걸 조금 미룰 수도 있고, 어느 정도 의사수가 확보가 됐다고 생각하면 빨리 그만둘 수도 있지 않은가”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의정 갈등과 관련해서는 아쉬운 부분이 숫자만 가지고 문제를 삼는데 의사들이 지방으로 갈 수 있게 만드는 요인이라든지 내외산소라고 의사들이 기피하는 과, 잘 안가는 부분을 시장 원리에 의해 인센티브 등을 통해 수가에서 변경을 준다든지 시장 친화적인 유인책 등이 같이 논의 테이블에 올라왔으면 좋겠는데 그 부분은 없고 단순히 숫자 얘기만 나오는 부분은 굉장히 아쉽다”고 지적했다.
경기 성남 분당갑 지역에 출마하는 같은 당 안철수 의원도 이날 오전 YTN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2000명 증원을 성역으로 남기면서 대화하자면 진정성이 없다고 다들 느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제가 제안한 것이 우선 의사들은 환자 곁으로 돌아오고 정부는 면허 취소나 이런 조치들은 철회해야 한다”며 “그리고 2000명 증원보다는 점진적인 증원 쪽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한민국 의료계가 가진 3대 문제가 있는데 필수 진료의사 부족과 백신이나 약 만드는 의사과학자 부족, 지방의료가 굉장히 열악한 문제”라며 “이런 것들을 고치려면 정책이 바뀌어야 하고 투자 의지가 있어야 한다. 이런 걸 가지고 대화를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범사회적인 의료개혁협의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의사, 정부, 시민단체, 심지어 OECD 같은 외국기구까지 합해서 필요한 숫자의 의사를 산출하고 다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당장 오늘이라도 이 문제는 해결해야 한다. 안 그러면 희생되는 국민도 생길 수 있고 이건 시급하다”며 “어떤 날짜를 정해놓고 협상할 게 아니라 하루라도 빨리 이것에 대해 해결을 하는 게 정부와 의료계의 국민에 대한 신성한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경기 화성에서 유경준 후보 지원 유세에 나섰던 유승민 전 의원도 지난 28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의대 정원 문제 가지고 국민께서 굉장히 불안하게 생각하고 환자분들이나 환자가 있는 가족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피해가 바로 오고 있다”며 “대통령과 당 지도부가 의대 정원 문제 때문에 야기된 ‘의정 갈등’을 일주일안에 해결하라고 꼭 주문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저도 의대 정원 늘리는 데 일관되게 찬성한다. 많은 국민이 찬성한다”면서도 “그러나 2000명 숫자에 집착하고 고집하는 건 국민들 눈에 오기로밖에 안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간선에서 타협해 80점, 70점으로라도 해결해야 한다. 사전투표 전에 대통령께서 직접 전공의 대표들을 만나 빨리 복귀시키는 게 급선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