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은 최근 범보수 진영 일부 인사들의 이재명 대선 후보 지지 선언에 대해 "민주당의 국민 '빅텐트'가 커지고 있는 것"이라고 자평했다.
민주당 중앙선대위 윤호중 총괄본부장은 20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총괄본부장단 회의에서 "내란에 반대한 애국 세력이 부패한 극우 카르텔에 맞서 이념이 아닌 국익을 위해 총결집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허은아 전 개혁신당 대표와 김용남 전 개혁신당 정책위의장, 문병호 전 의원 등 개혁신당에서 이탈한 일부 인사들과 새미래민주당을 탈당한 이석현 전 의원, 국민의힘을 탈당한 김상욱 의원이 이재명 대선 후보 지지를 선언한 데 대한 평가다.
이에 고무된 이재명 후보도 "찢어진 가짜 빅텐트에서 고생하는 사람이 있을까 싶어서 말하는데 진짜 빅텐트인 민주당으로 오라"며 ‘이재명이 진짜 빅텐트’라고 주장했다.
마치 작은 피라미를 잡은 어부가 큰 고래라도 잡은 것처럼 호들갑을 떠는 것 같아 헛웃음이 나올 정도다.
대선 때가 되면 언제나 그랬듯 그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비주류 인사들이 부나방처럼 떠돌다가 힘이 센 곳에 둘러붙는다. 후보들은 한 표가 아쉬운 마당이니 그런 사람들을 내치지 않고 일단 받아들인다. 하지만 선거 끝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 이방인에 불과한 그들을 내친다.
특히 이재명에게 있어선 더욱 그렇다. 지난 총선에서 이른바 ‘비명횡사’ 공천으로 보여주었듯 민주당 내 인사들조차 ‘친명’이 아니면 살아남기 어려운 곳이 일극 체제의 민주당이다.
그런 곳에서 개혁신당과 국민의힘에서 이탈한 자들이 과연 뿌리를 내리고 살아갈 수 있을까?
살아남으려면 주인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반려견처럼 보여야 하는데, 그건 자신이 속했던 당을 이탈한 명분과 배치되는 것 아니겠는가.
물론 어디에서도 주류 대접을 받지 못하는 그들은 그렇게 해서라도 살아남으려 할 것이다.
빅텐트는 그런 자들을 끌어모아 놓는 게 아니다.
신동욱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수석대변인도 “그런 것은 '빅텐트'가 아니다”라고 평가절하했다.
신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전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재명 후보가 '진짜 빅텐트'를 자칭한 것을 겨냥해 "항상 대선 기간이 되면 움직이는 사람들이 있다. 민주당 전직 의원들 몇 분을 데려왔다고 그게 빅텐트냐"라고 반문하며 이같이 지적했다.
맞다. 빅텐트라고 주장하려면 개혁신당의 곁가지인 비주류 세력이 아니라 주류인 이준석 후보 정도가 합류해야 한다.
이재명 지지를 선언한 허은아 전 대표는 개혁신당의 비주류다. 비록 전당대회에서 대표로 선출되긴 했으나 이준석 후보와 갈등을 빚다가 지난 1월 당원소환 투표로 대표직을 잃고 탈당해 오갈 데 없는 신세다. 김용남 전 정책위의장이나 문병호 의원도 개혁신당에선 있으나마나한 곁가지에 불과했다.
새미래민주당에서 이석현 전 의원이 이재명 지지를 선언했지만, 그 역시 새민주에선 주류가 아니었다. 특히 국민의힘을 탈당하고 이재명 지지를 선언한 김상욱 의원은 당에서 ‘왕따’였고, 당에서부터 탈당을 권고받은 상태라 버티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런 곁가지들을 모아놓고 ‘빅텐트’라고 주장하는 건 좀 우습다.
그러면 국민의힘 빅텐트 구상은 어떤가.
역시 지지부진하기는 마찬가지다.
빅텐트라면 적어도 개혁신당 주류인 이준석 후보와 새미래민주당 주류인 이낙연 상임고문이나 전병헌 대표와 연합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아직은 쉽지 않아 보인다.
다만 이날 전병헌 새미래민주당 대표와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서울 여의도 모처에서 만나 개헌 등 대선 국면 전반에 대한 논의와 '괴물국가 저지'라는 공감대 모색에 나선다는 소식은 그나마 위안이 되고 있다.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는 왜 ‘빅텐트’가 이렇게 어려운지 그 이유를 자신에게서 찾을 필요가 있다. 곁가지들을 긁어모아 진짜 빅텐트라고 우기는 이재명 후보도 한심하지만, 일찌감치 빅텐트를 구상하고도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는 김문수 후보 역시 답답하기는 매한가지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